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휴대폰 보험 보상에 대부분 불만족

글로벌이코노믹

휴대폰 보험 보상에 대부분 불만족

[글로벌이코노믹=노진우기자] 휴대폰 분실·도난·파손에 따른 손해를 경감하기 위해 가입한 보험에 대해 실제 보상 경험자들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휴대폰 보험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보험 보상 절차나 기준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자료: 마케팅인사이트마케팅인사이트(대표 김진국)가 스마트폰 이용자 27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폰 보험 현황’ 조사에서 30%가 현재 보험에 가입해 있고, 5%는 지난 1년 간 보험을 통해 보상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 경험자 가운데는 ‘파손’에 따른 보상이 61%로 ‘분실·도난’으로 인한 경우(39%)보다 많았으며, 보상 경험자들의 38%만이 보상서비스에 만족한다고 답해 개선의 여지가 커 보인다.
보상에 대한 만족률은 ‘분실·도난’ 경험자들이 특히 낮아, 2명 중 한 명 꼴인 48%가 보상에 불만이라고 답했다. ‘파손’돼 보상을 받은 경험자들의 21%가 불만족을 표했던 것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이는 스마트폰 ‘분실·도난’의 경우 ‘파손’됐을 때보다 본인 부담금도 많고, 개인 정보 손실로 인한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응답자들은 스마트폰 보험에 불만족한 이유를 ▲본인 부담금이 너무 많고(60%) ▲보상 신청 및 처리절차가 복잡해서(55%) ▲보상 기준이 까다로워서(26%) ▲매달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가 부담스러워서(24%) ▲보상 기준에 대한 안내가 부족해서(19%) 등을 꼽았다.

현재 스마트폰 보험은 월 보험료가 2000원~5000원이고, 보상을 받더라도 본인 부담금이 많게는 10만원을 넘는 수준이며, 스마트폰 보험 가입률을 통신사별로 보면 KT 이용자가 4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LG U (35%), SKT(21%)의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