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스닥 상장사 위메이드가 발행한 '위믹스', 글로벌 대표 플랫폼 꿈 꾼다

글로벌이코노믹

코스닥 상장사 위메이드가 발행한 '위믹스', 글로벌 대표 플랫폼 꿈 꾼다

사진=위메이드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위메이드
위메이드가 발행한 가상자산(암호화폐) 위믹스(WEMIX) 코인은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코인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코인이다. 비록 국내 원화마켓 보유 거래소 협의체인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에서 거래 중지되는 악재가 있었지만 이를 딛고, 코인원에 재상장되며 화려하게 국내 거래소에 복귀했다. 위믹스 코인은 다른 국산 코인들과 달리 코스닥 상장사인 위메이드가 발행한 코인이기에 투자자들이 더 믿고 신뢰를 보이고 있다.

2000년 설립된 위메이드는 20년 이상의 풍부한 게임 개발 경험과 다양한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는 업계 선도기업이다.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WEMIX3.0)'을 기반으로 진일보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위믹스3.0은 선도적인 경험을 바탕(Experience-based)으로 개발한 플랫폼 중심, 서비스 지향적인(Platform-driven & service-oriented) 개방형 메인넷이다. 위메이드는 다양한 기업, 프로젝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위믹스3.0 중심의 거대한 블록체인 생태계(mega ecosystem)를 만들어가고 있다.

◇ 위메이드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
위믹스의 스테이블 코인인 '위믹스달러' 이미지. 사진=위메이드이미지 확대보기
위믹스의 스테이블 코인인 '위믹스달러' 이미지. 사진=위메이드

당초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메인넷을 사용했던 위믹스(WEMIX)는 이후 자체 메인넷의 필요성을 느끼고 기존 토큰인 위믹스에 스테이블 코인인 위믹스달러(WEMIX$)를 추가해 듀얼 토큰 체제로 전환하며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인 '위믹스3.0(WEMIX3.0)'을 2022년 9월 론칭했다.

위믹스3.0은 탈중앙화, 보안성, 확장성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핵심 요건을 갖추고 있다. 검증된 40개 글로벌 노드 카운슬 파트너(Node Council Partner)인 '40원더스(40 WONDERS)'와의 기술 및 사업 협력을 통해 SPoA(Stake-based Proof of Authority, 스테이킹 기반 권한증명) 합의 알고리즘 기반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된다.

또 가변적 총 가스비용(gas fee, 수수료) 계산 공식을 도입해 고의적 거래 과부하 또는 디도스(DDoS) 같은 외부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블록 인터벌(block interval, 블록 생성 간격)은 1초, 초당 처리량은 최대 4000TPS(Transaction Per Second)로 다양한 디앱(DApp) 혹은 다른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위메이드는 위믹스3.0 기반 세 가지 플랫폼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 △DAO(탈중앙화 자율조직) & NFT(대체불가능토큰) 플랫폼 '나일(NILE)' △디파이(DeFi, 탈중앙금융) 플랫폼 '위믹스파이(WEMIX.Fi)'를 중심으로 거대한 블록체인 생태계(mega-ecosystem)를 만들어 가고 있다.

◇ 분기보고서 발행부터 실시간 유통량 모니터링까지...가장 투명하게 정보공개


현재 위믹스3.0은 세계에서 가장 투명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꼽힌다. △위믹스 분기보고서와 사전, 사후 공지 △쟁글 내 실시간 유통량 모니터링 서비스 라이브워치(Live Watch) 연동 △코인마켓캡과 코인게코를 통한 실시간 총 발행량, 유통량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 위믹스 보유현황과 사용내역 등에 대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위메이드는 기업 신뢰도와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미디어, 자본시장,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올해는 매 분기 △국내외 증권사 애널리스트 및 기관 투자자 대상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 △위믹스 투자자 대상 AMA(Ask Me Anything) 간담회 △게임 및 IT, 블록체인 담당 기자들과의 미디어 간담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국내외 굵직한 게임, 블록체인 행사에서도 미디어 간담회를 열 계획이다.

올 2월에는 위믹스 투자 승인 프로그램 WAIT(Wemix Approves Investment Transparently) 프로토콜도 발표했다. 위믹스 투자와 마케팅 활동의 투명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WAIT 프로토콜 투자심의위원회도 신설했다. 투자심의위원회는 위믹스 재단에서 투자 안건을 제시하면 타당성을 면밀히 검증한다. 투자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위원회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이후 40원더스 의결 단계로 넘어가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 위믹스(WEMIX) 코인, 위메이드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코인


위믹스(WEMIX)는 실질적 효용이 있는 유틸리티 코인이다. 게임, NFT, 탈중앙금융(DeFi) 등 위메이드가 구축한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경제적 실체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코인, 토큰 등 가상자산과 확실히 차별화돼 있다.

◇ 세계 최대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


5월 8일자 위믹스 플레이 플랫폼에는 59종의 게임이 온보딩돼 있다. 사진=위믹스 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5월 8일자 위믹스 플레이 플랫폼에는 59종의 게임이 온보딩돼 있다. 사진=위믹스 플레이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는 위믹스3.0 생태계의 핵심 플랫폼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으로서 MMORPG, 전략 시뮬레이션, SNG 등 다양한 장르의 블록체인 게임을 서비스 중이다. 8일 현재 위믹스 플레이에 온보딩된 게임 수는 59종이며 대표작으로는 '미르4', '미르M: 뱅가드 앤 배가본드', '열혈강호', '데카론G' 등이 있다. 출시 예정작을 포함해 현재까지 확보한 라인업은 100종 이상이다. 올해는 라인업 확보에 박차를 가해 세계 1위의 자리를 더욱 굳건히 다질 계획이다.

위메이드는 올해 △방치형 RPG '바바리안 키우기(NT게임즈)' △낚시 게임 '월드피싱챔피언십(위메이드플러스)' △수집형 RPG '소울시커 나이츠(RotiX)' 등을 위믹스 플레이에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 3월 위메이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GDC 2023에 참가했다. 당시 위메이드는 현장 미팅을 통해 북미 3개 게임사인 리토스(Liithos), 히트 팩터(Hit Factor), PM챔피온스(PM Champions)와 온보딩 파트너십(MOU)을 체결하는 등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위믹스 플레이에서는 게임 간 경제가 연결된 인터게임 이코노미(Inter-game economy)를 경험할 수 있다. 게임을 즐기면서 얻은 것을 다시 다른 게임에 재투자(Play & Earn, and Pay)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용자는 가상 자산으로 게임 아이템을 구입하거나 NFT(Non-Fungible Token)를 거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임의 재미가 배가되고 게이머들의 충성도도 한층 증가하게 된다.

◇ 위믹스 코인 관련 주요 히스토리


- 2020년 1월 블록체인 플랫폼 '위믹스(WEMIX)' 론칭

- 2020년 10월 위믹스 토큰 거래소 첫 상장

- 2020년 12월 위믹스 플랫폼 최초의 게임 '버드토네이도 on WEMIX' 출시

- 2021년 8월 '미르4' 글로벌 출시

- 2022년 6월 글로벌 쇼케이스 통해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 '위믹스달러', 세 가지 플랫폼 공개

- 2022년 7월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WEMIX PLAY)' 론칭

- 2022년 10월 블록체인 메인넷 '위믹스3.0' 론칭

- 2022년 10월 100% 리저브 스테이블코인 '위믹스달러(WEMIX$)' 발행, DeFi 플랫폼 '위믹스파이(WEMIX.Fi)' 론칭

- 2022년 11월 DAO&NFT 플랫폼 ‘나일(NILE)’ 론칭

- 2023년 1월 '미르M: 뱅가드 앤 배가본드' 글로벌 출시

- 2023년 2월 위믹스 투자 승인 프로그램 WAIT(Wemix Approves Investment Transparently) 프로토콜 발표

- 2023년 3월 '나일' 세계 최초 NFTFi 서비스 '네이트 스테이션' 공개

- 2023년 3월 '위믹스 플레이' 3.0 리뉴얼 업데이트

- 2023년 3월 세계 최초 토큰-NFT 기반 메신저 '파피루스(PAPYRUS)' 오픈

- 2023년 3월 '나일' T2E(Talk to Earn) 라이프 디앱(Life DApp) '탱글드(Tangled)' 론칭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