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구직시장 AI 봄바람…'일자리 도둑' 아닌 '구직 조력자'

글로벌이코노믹

구직시장 AI 봄바람…'일자리 도둑' 아닌 '구직 조력자'

AI 자소서·모의면접 서비스 확산
구직자 92% “취업 준비에 실질 도움”
국내 구직 시장에 인공지능(AI)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AI는 이제 구직자의 일자리를 뺴앗는 적수가 아니라, 정확한 구직을 돕는 ‘조력자’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다. 이미지=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구직 시장에 인공지능(AI)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AI는 이제 구직자의 일자리를 뺴앗는 적수가 아니라, 정확한 구직을 돕는 ‘조력자’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다. 이미지=연합뉴스
국내 구직 시장에 인공지능(AI)이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 과거에는 일자리를 위협하는 존재로 인식되던 AI가 이제는 구직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 기능하며, 채용 과정 전반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지난달 26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973명의 구직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AI 취업 준비 서비스 활용 현황'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39.6%가 AI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중 92.2%는 "AI가 실제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이에 따라 주요 커리어 플랫폼들도 AI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 잡코리아는 생성형 AI 솔루션 'LOOP AI'를 도입해 맞춤형 채용 정보 요약 서비스인 '1분 레터'를 지난 24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구직자의 이력서를 분석해 적합한 공고를 자동으로 골라 이메일로 전달한다. 잡코리아 측은 "입사 지원율과 합격률을 높일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사람인은 AI 기반 모의면접 서비스를 통해 실제 면접을 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구직자의 이력서와 지원 분야를 바탕으로 AI가 맞춤형 질문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기소개서 초안 작성 기능도 제공 중이며, 월평균 2만5000건 이상이 등록되고 있다.
원티드랩은 AI 트랜스포메이션(AX)을 중심으로 HR 사업을 확장 중이다. 기존의 AI 매칭 기반 채용 플랫폼 '원티드'와 HR 솔루션 '원티드 스페이스'에 AI 에이전트 기술을 접목했으며, 일본의 IT 인재 매칭 기업 '라프라스'에 투자해 일본 시장 내 AI 인프라도 확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AI 기반 채용 서비스는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리모트는 지난달 25일 AI 기반 글로벌 매칭 시스템 '리크루트 AI'를 출시했다. 구직자 정보와 채용 공고를 분석해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고, 공고 작성도 생성형 AI로 지원한다. "전 세계 8억 명의 인재 데이터에서 적합 인재를 AI로 필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 리모트의 설명이다.

국내 커리어 플랫폼 리멤버도 'AI 채용비서' 기능을 통해, 기업이 입력한 직무 기술서에 따라 AI가 자동으로 적합 인재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AI는 노동시장에 위협이 아닌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통계청은 지난해 '한국의 사회동향 2024' 보고서를 통해 AI가 기존 일자리의 10%를 대체할 수 있는 반면,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는 16%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유응준 전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는 지난달 열린 AI 포럼에서 "AI는 사람의 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라 새 자리를 만든다"며 "반복 업무를 자동화해 더 고도화된 역할을 부여한다”고 말했다, 이어 "AI 시대에 필요한 직업은 개발자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