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와 금융사기 방지 협력
통신사 관계없이 '후후' 앱 무료 서비스
AI가 고위험 번호 392건 탐지
통신사 관계없이 '후후' 앱 무료 서비스
AI가 고위험 번호 392건 탐지

KT는 지난 1월 22일 출시한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서비스의 상용화 이후 두 달간 운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KT에 따르면, 서비스 개시 이후 '주의' 및 '위험' 등급으로 분류된 보이스피싱 통화 중 확인 가능한 1528건을 분석한 결과, 탐지 정확도는 90.3%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392건(25%)은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거나 검찰·경찰을 사칭한 사례로 확인돼, 알림 기능이 실질적인 범죄 예방 수단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줬다.
KT는 정부가 발표한 '2024년 보이스피싱 건당 평균 피해액(약 4100만 원)'을 적용해 환산한 결과, 해당 서비스로 약 160억 원 규모의 피해를 사전에 막은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요금 청구나 수납 관련 통화 등 일부 정상적인 통화에서 탐지 오류도 발생했다. 실제 오탐 사례는 총 148건으로, 전체 탐지 건수 대비 약 10% 수준이다. KT는 이러한 오탐률을 줄이기 위해 AI 엔진 정밀도를 높이고, 신뢰 가능한 발신번호 정보를 반영한 화이트리스트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상반기 중 정확도를 추가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사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URL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피해 차단에도 기여했다. KT는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경찰에 제공했고, 경찰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대면 경고를 통해 피해를 사전에 방지했다.
이 같은 협업을 통해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피해자에 대한 계좌 지급정지 조치가 이뤄졌고, '검찰 사칭' 피싱범에게 수표 1억 원을 전달하려던 사례 역시 대면 차단으로 막아냈다. 이처럼 2월부터 3월까지 두 달간 총 20억1000만 원 규모의 피해가 예방됐다.
KT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4월부터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 최초로 실시간 AI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을 적용하기로 했다. 케이뱅크의 금융사기 방지 시스템과 연동해, 고객이 의심 전화를 받으면 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케이뱅크에 전달함으로써, 사기 의심 계좌의 출금 정지 등 직접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KT AX혁신지원본부장 이병무 상무는 "KT의 인공지능 기술이 실제 보이스피싱 예방에 기여하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한 '후후' 앱을 통해 더 많은 국민이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