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수명·충전 속도 향상시킨 전기차용 음극재 독자개발
천연흑연 원료 활용한 '저팽창 음극재' 원가 절감에 친환경성
글로벌 고객사 수주 증가에 투자 늘려 주도권 확보 기술 주도
천연흑연 원료 활용한 '저팽창 음극재' 원가 절감에 친환경성
글로벌 고객사 수주 증가에 투자 늘려 주도권 확보 기술 주도

포스코케미칼은 지난 25일 이사회를 열고 저팽창 음극재 생산능력을 현재의 연 7000톤에서 3만5000톤으로 확대하기 위해 생산능력 확대를 결정했다. 이를 위해 1054억원을 투자해 세종공장에 건설 중인 천연흑연 음극재 생산 공장을 저팽창 음극재 전용 생산라인으로 변경하고, 오는 2023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팽창 음극재는 포스코케미칼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제품이다. 전기차 배터리에 꼭 필요한 안정성, 수명, 충전 속도 등의 성능을 크게 높이면서 가격은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천연흑연을 원료로 생산되는 저팽창 음극재는 천연흑연 음극재 대비 팽창률은 25% 낮추고, 급속충전 성능은 15% 향상시켰다. 인조흑연 대비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저감하여 친환경성을 높였다.
포스코케미칼은 이번 투자를 통해 천연흑연·저팽창·인조흑연·실리콘 음극재 등 전 제품을 생산하는 ‘풀 포트폴리오(Full Portfolio)’를 구축하게 됐다. 이에 따라 적극적인 양산능력 확대를 통해 배터리 시장의 주도권을 잡겠다는 전략이다.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은 “이번 투자는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배터리 소재를 양산해 시장 격차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라며 “최고의 제품으로 고객 수요에 차질 없이 대응하고 전기차 산업의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유일의 음·양극재를 모두 양산하는 포스코케미칼은 천연흑연 음극재와 저팽창 음극재는 세종에서, 인조흑연 음극재는 포항에서 생산 중이다. 여기에 차세대 소재인 실리콘 음극재의 사업화도 추진하고 있다.
양극재는 하이니켈 제품을 중심으로 광양, 구미, 중국에 생산라인을 운영 중이며, 북미에 GM과의 합작법인 설립도 추진 중이다.
서종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ojy7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