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포스코인터, 현대차에 구동모터코어 353만대 공급

글로벌이코노믹

포스코인터, 현대차에 구동모터코어 353만대 공급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구동모터코어.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이미지 확대보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구동모터코어.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대자동차그룹에 차세대 전기차 구동모터코어를 공급하며 모빌리티산업 분야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현대차그룹과 구동모터코어 총 353만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6년부터 2034년까지 현대차그룹 북미신공장(HMGMA)에 차세대 전기차 전륜구동 모터코어 109만대와 후륜구동 모터코어 163만대를 공급한다.

이와 함께 2026년부터 2036년까지 현대차그룹 국내생산 전기차 후륜구동 모터코어 81만대도 공급한다. 이로써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9월까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대차그룹과 체결한 구동모터코어 수주계약은 총 1038만대를 기록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연이어 구동모터코어 수주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모빌리티 분야에서 자회사인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이 자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과 인프라에 더해, 모터코어의 주재료인 포스코의 고품질 무방향성 전기강판(Hyper NO)이 만들어 낸 시너지로 분석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포스코가 개발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으로 기존 전기강판보다 에너지 손실을 대폭 개선한 제품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를 넘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전기차 시장의 무역장벽 리스크를 해소하고 완성차 업체들의 현지조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글로벌 생산망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각 대륙 거점인 중국, 멕시코, 폴란드, 인도 등에 2030년까지 500만대 구동모터코어 해외 생산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회사는 지난 3월 중국에 연간 90만대 생산 규모의 신규 공장을 착공해 오는 하반기 완공을 앞두고 있으며, 다음달 준공 예정인 멕시코공장은 연간 150만대 규모의 생산 체제를 갖춰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글로벌 친환경차 기업들의 북미 생산기지로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유럽은 폴란드를 생산 거점으로 낙점하고 2025년 생산을 목표로 공장 후보지를 검토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자동차 시장의 선도 기업인 현대차그룹의 해외 신공장에 구동모터를 구성하는 핵심부품인 구동모터코어를 직접 공급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