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세대 역작들의 DNA 유지, 새로운 패밀리룩을 포인트로 강조

K5는 기아의 전 디자인 총괄이었던 피터 슈라이어의 작품으로 탄생한 1세대 모델부터 혁신적인 변화를 선보이며 이목을 끌었다. 특유의 타이거 노즈와 날렵한 헤드램프가 스포티함을 강조한 것이 유효했다. 형제 모델인 현대차 쏘나타가 중후한 멋과 세련미를 강조해 중장년층의 인기를 끌었다면 K5는 역동적 이미지를 강조해 청년층까지 섭렵할 수 있는 역량도 갖췄다.
1세대 모델은 완성도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포티한 디자인은 물론 차체의 비율 즉 밸런스도 잘 맞아 들어갔다. 2세대와 3세대, 그리고 이번 3세대 페이스리프트까지 실루엣에 큰 변화가 없는 이유다. 명차 디자인이라면 타임리스를 추구한다는 말이 먹혀들어가는 셈이다. 참고로 1세대 모델 당시에는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송 디자인 수상작 중 하나로 선정됐고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송 디자인에서 최우수상을 받는 등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기아의 디자인에서는 전례 없던 성과였다.
피터 이후 2세대를 맡게 된 후임 루크 동커볼케 체제에서도 1세대 K5의 디자인 철학은 이어졌다. 보통 총괄이 바뀌면 대대적인 디자인 변혁이 일어나기 마련인데, 전임자가 남겨놓은 위대한 유산을 그대로 활용한 사례다. 루크 총책의 결정은 혁신보다는 진화를 선택한 것으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 다만, 2세대 모델부터는 주변 환경이 여의치 않았다. SUV 선호, 경쟁차들의 선전 등에 따라 인기가 소폭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기아의 타이거 노즈는 이제 브래드 정체성으로 깊이 자리 잡은 분위기다. 이날 발표에 나온 윤문호 기아 넥스트디자인외장 2팀 담당 역시 “타이거 노즈는 이제 기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한 디자인 요소가 됐다”며 “앞으로도 다른 기아 차에서도 타이거 노즈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3세대 K5의 그릴 가운데에 돌출된 노즈 디자인은 다소 작아진 느낌이지만, 그 라인을 따라 보닛에 새겨진 캐릭터라인까지 본다면 더욱 강렬한 인상을 준다. 페이스리프트 이전부터 이어져 오던 3세대 디자인 요소로 스포티함을 강조하는 데 한몫을 하고 있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