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500년만 최악 가뭄 등 영향으로 소폭 감소
에너지 발전량 1위 미국 감소세 주요 원인은 ‘경제성’
에너지 발전량 1위 미국 감소세 주요 원인은 ‘경제성’

독일과 일본 등 탈원전 정책의 영향도 있지만, 유럽 대륙을 휩쓴 극심한 가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한국은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힘입어 원전 발전 비중이 유일하게 증가했다.
7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를 인용한 ‘지난해 OECD주요 10개국 발전량’ 자료에 따르면 총발전량 기준 OECD 주요국에서 미국(4479TWh)과 일본(1004TWh), 캐나다(656TWh) 순으로 발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총발전량은 635TWh를 기록해 4위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이어 독일, 프랑스, 멕시코, 튀르키예, 영국, 스페인 순이다.
반면 미국, 일본, 캐나다, 독일, 프랑스, 멕시코, 영국이 전년 대비 지난해 원전 발전량 비중이 0.7%~6.2% 수준으로 소폭 줄었다.
주요국 원전 비중이 줄어든 배경은 주요 요인 중 하나인 탈원전 정책이 꼽힌다. 과거 원전 사고를 겪은 독일과 일본 등이 탈원전 정책을 펼쳐 지난해 발전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지역 국가의 원전 비중 감소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대륙을 휩쓴 극심한 가뭄 때문이다. 지난해 유럽 대륙의 3분의 2에 달하는 지역에 가뭄을 겪었다. 이는 500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평가된다.
대부분 바닷가에 있는 한국 원전은 바닷물을 용수로 쓴다. 반면 강가에 원전이 있는 유럽 국가들은 강물을 사용하는 데 가뭄으로 원전 발전량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8월 BBC는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산하 세계가뭄관측소(GDO)의 보고서를 인용해 유럽 대륙의 47%가 가뭄 ‘경고(waring)’ 상태에 있으며 17%는 ‘비상(alert)’이라고 보도했다.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EU집행위는 당시 ‘현재 가뭄은 500년 만에 최악의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이유로 원전 발전 비중이 줄어들기도 했다. 에너지 발전량 1위 국가인 미국의 감소세는 경제성을 들을 수 있다. 미국에는 셰일가스 등 천연가스 자원이 풍부하다 보니 원전보다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에너지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세계적으로 발전량도 줄어들 것 같다”며 “다만 발전원 중 원전 비중은 비슷하거나 소폭 늘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