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L제품, 설치비 무료에 AS까지…소비자 만족도 상당
국내 제조사들 제품과 가격 1/2 이상 차이 나
국내 제조사들 제품과 가격 1/2 이상 차이 나

2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대표 가전기업 TCL이 지난해 말 쿠팡에서 출시한 98인치 TV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TCL은 하이센스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가전기업으로 지난해 말 야심 차게 쿠팡을 통해 98인치 TV를 300만원 초반대에 선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쿠팡와우 회원은 299만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98인치 TV를 구입하기도 했다.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제품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집에 돌아올 때마다 큰 TV에 감탄한다"며 "300만원에 최고의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소비자는 "인생템(평생 쓰고 싶은 물건) 등극"이라면서 "중국 제품인데도 화질이 상당하다"고 평가했다. 중국 제품에 대한 품질 불안감과 이미지 때문에 설치를 망설였던 소비자들은 구매자들의 호평이 이어지자 점차 구매에 나서는 모습이다.
TCL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환영받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오픈마켓 기준 삼성전자의 QLED TV 98인치가 600만원대, LG전자의 98인치 TV가 800만원 이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TCL의 300만원이라는 가격은 충격적이다.
또 외국 제품의 문제로 꼽히던 애프터서비스(AS)도 패널에 대해 무상보증 3년, 기타 부품에 대해 2년을 제공하면서 불안감을 말끔히 해소시켰다. 그렇다고 성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초고화질을 자랑하는 것은 아니지만 4K UHD(3840x2160) 해상도에 색 영역도 디지털영화협회(DCI) 'DCI-P3' 표준의 최대 95%를 만족한다. 주사율도 144Hz(헤르츠)까지 지원해 게임에도 활용할 수 있다.
98인치 사이즈에서 TCL의 선전은 다른 사이즈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 TV업체들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TCL은 지난해 11월 한국법인을 설립해 국내 시장에 공식 진출한다고 밝힌 데 이어 가격 대비 성능을 내세워 국내 TV시장 공략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TCL은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제조사들의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TV 판매량 1위는 삼성전자가 차지했지만 TCL이 LG전자를 누르고 3위를 차지했다. LG전자는 TCL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TCL의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은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다.
업계 전문가는 “중국 제조사들의 가격 경쟁력이 상당하다”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고급 제품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