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300여명, 마곡으로 집결
"AI 연구개발 시너지 촉진 기대"
"AI 연구개발 시너지 촉진 기대"

LG그룹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이끌고 있는 LG AI 연구원이 설립 5년 만에 서울 마곡지구로 본사를 이전했다. 수백명의 연구원들을 한 곳으로 집결시켜 AI 연구개발(R&D) 시너지를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LG는 AI 개발 전담조직인 LG AI 연구원이 서울 마곡지구에 위치한 디앤오 사옥으로 본사 이전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로써 설립 5년 차를 맞은 LG AI연구원은 그 동안 여의도와 마곡에서 근무하고 있던 연구원 300여 명을 한 곳에 모았다.
LG AI연구원은 건물 3층부터 7층까지 5개 층을 사용한다. 연구원들이 자유롭게 협업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50여 개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회의 공간을 조성하는 등 공간 디자인 설계에 공을 들였다.
LG AI 연구원은 흩어져 있던 연구원들이 마곡 본사에 집결하면서 AI 관련 연구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AI 개발 특성상 그룹의 계열사들과 협업해야 할 일이 많은데,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 몰려 있는 계열사들과도 AI 개발에 힘을 모을 전망이다.
LG AI연구원은 지난 2020년 12월 출범했는데 그 동안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던 조직이다. 2021년 12월 국내 최대 규모의 AI 모델인 '엑사원 1.0'을 선보였다. 지난해 12월 엑사원 3.5를 공개한 이후 지난 3월에는 국내 최초 추론 AI인 '엑사원 딥'을 공개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은 LG의 국내 사무직 임직원 절반에 달하는 4만명 이상이 가입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외부 서버와의 연결 없이 기기 내부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AI 모델'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