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D·LGD, SID 2025서 차세대 OLED 등 세계최고 기술력 선봬

글로벌이코노믹

삼성D·LGD, SID 2025서 차세대 OLED 등 세계최고 기술력 선봬

삼성D, 무기발광 기술 'EL-QD'…연구 논문 '올해의 우수 논문' 선정
화면 전체 지문 인식…빛으로 심방세동 감지·혈압 측정까지 가능한 '센서 OLED'
LGD, 3개 존으로 나눠…대형 OLED 기술·차량용 디스플레이·친환경 디스플레이 기술 소개
AI 최적화된 4세대 OLED 패널·독자 기술 적용 게이밍 OLED 패널 전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나란히 13일(현지시각)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 전시회에 참가한다.

SID는 전세계 디스플레이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첨단 기술과 연구개발(R&D)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전년 대비 성능이 개선된 'EL-QD'를 전시한다. 궁극의 퀀텀닷(QD)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 사진=삼성디스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 'SID 2024'에서 'QD-LED'라는 이름으로 업계 최초 공개하면서 학계의 이목을 끌었다. 상용화된 QD-OLED가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발광(PL) 방식이라면,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R·G·B 픽셀을 빛내는 전계발광 방식이다. QD 특유의 장점인 뛰어난 '색 정확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이는 EL-QD는 400니트 고휘도 제품과 264PPI 고해상도 제품 두 가지다. 고휘도 제품은 작년 공개한 제품(250니트) 대비, 화면이 50% 이상 밝아졌다. 지금까지 공개된 제품 중 최고 밝기로 EL-QD 상용화의 최대 난제로 꼽히는 청색 재료의 수명을 개선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환경 친화적인 카드뮴 프리(Cd Free) 퀀텀닷의 경우 수명 문제를 개선하기 어렵다는 것이 업계의 인식인데 삼성디스플레이가 또 한 번의 기술적 진전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고해상도 제품의 경우 픽셀 밀도가 지난해 공개한 EL-QD 제품(202PPI)보다 한층 높아진 264PPI(1인치당 픽셀 수)에 달한다. 잉크 특성과 잉크젯 인쇄 공정간 호환성을 높인 것이 특징으로 삼성디스플레이는 논문으로 발표해 SID로부터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전시하는 센서 OLED 디스플레이. 사진=삼성디스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전시하는 센서 OLED 디스플레이.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기술도 이번에 실물로 전시된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는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만의 혁신 기술이다.

통상 전자기기의 지문 센서는 별개의 모듈로서 패널 밑에 부착되는데,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소자를 증착할 때 광센서인 유기광다이오드(OPD)도 함께 증착해 센서를 패널에 내재화했다. 일ㄹ 통해 손가락으로 패널 어디를 터치하든 지문 인식은 물론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스트레스 수준 측정 △심방세동 감지까지 가능하다. OLED 빛이 손가락 내부 혈관의 수축·이완 상태에 따라 다르게 반사돼 패널로 돌아오면 이를 OPD가 인식해 건강 정보로 바꿔 보여주는 원리다.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은 OPD가 증착된 패널을 활용해 스크린 속 도형을 깨끗하게 오려내는 이른바 '디지털 달고나 게임'도 즐길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RGB 올레도스(5,000PPI). 사진=삼성디스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RGB 올레도스(5,000PPI).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RGB 올레도스 중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5000PPI 제품도 처음으로 선보인다. 크기는 1.4형 초소형으로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 8K TV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췄다. 이 제품은 초고해상도에 △화면 밝기 최대 1만5000니트 △120Hz 주사율 △DCI-P3 기준 최대 99% 색 표현 등 실감나는 확장현실(XR) 기기를 위한 고성능을 두루 갖췄다.

화면 밝기가 2만니트(4200PPI)에 달하는 RGB 올레도스도 최초 공개한다. 이 제품은 기존 업계에서 발표한 RGB 올레도스 중 최고 밝기를 자랑한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이다.

혁신적인 폼팩터 제품들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 공개된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이다. 이 제품은 화면을 3차원으로 돌출시키거나 공처럼 둥근 표면을 고해상도로 구현하는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3차원 지도 콘셉트를 적용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화면 중 두 부분이 동시에 돌출되는 연출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외 올 초 'MWC 2025'에서 처음 선보여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던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폴리건 폴더블' 등 독특한 콘셉트 제품도 살펴볼 수 있다. 플렉시블 브리프 케이스는 18.1형 폴더블 OLED를 반으로 접어 손잡이가 있는 가방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개발한 제품이다. 평소에는 태블릿 두 개를 합친 18.1형 크기로 크게 화면을 사용하다 이동 시 서류가방처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폴리건 폴더블'은 기존의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3.38형 마름모 형태 OLED를 폴더블 폰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제품이다.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직원이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가 열리는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컨벤션센터 앞에서 참가 소식을 알리고 있다. 사진=LG디스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LG디스플레이 직원이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가 열리는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컨벤션센터 앞에서 참가 소식을 알리고 있다.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제로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OLED 풀라인업을 공개한다. 전시장을 3개 존으로 나누고 대형 OLED 기술 진화를 비롯해 미래 모빌리티를 겨냥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솔루션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대형 OLED 존에서는 ‘대세화를 위한 또 한번의 진화’를 주제로 4세대 OLED 패널의 우수성과 이를 적용한 TV 및 게이밍 패널을 선보인다.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패널은 RGB(적·녹·청)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화면 밝기) 4000니트를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OLED 패널로 AI TV부터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이날 공개한 ‘4세대 OLED TV 패널’은 압도적 화질로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고품질로 변환시키는 업스케일링 등 AI TV 기능을 완벽히 구현한다. 또한 소자 구조 및 전력 공급 체계를 개선해 에너지 효율을 기존 대비 약 20%(65인치 기준) 개선하며 AI TV에 최적화돼 있다는 평가다.

‘27인치 게이밍 OLED’는 기존 3세대 OLED를 적용한 제품과 4세대OLED를 적용한 신제품을 비교 시연하여 더욱 개선된 휘도와 색 재현율 등 LG디스플레이만의 진화한 게이밍 OLED를 체험할 수 있다.

세계 최고 해상도(5120×2160)로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 ‘45인치 5K2K 게이밍 OLED’도 공개된다. 45인치 대화면에 약 1100만개 픽셀이 촘촘하게 배열돼 뛰어난 화질을 구현하고 영화관 스크린과 유사한 21:9 비율로 차원이 다른 몰입감을 선사한다.

하나의 모니터로 게임부터 영화 감상까지 다양한 콘텐츠에 최적화할 수 있는 LG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 ‘DFR’도 주목받는 기술이다. 콘텐츠에 따라 고주사율 모드와 고해상도 모드 중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LG디스플레이 직원이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가 열리는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컨벤션센터 앞에서 참가 소식을 알리고 있다. 사진=LG디스플레이이미지 확대보기
LG디스플레이 직원이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가 열리는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컨벤션센터 앞에서 참가 소식을 알리고 있다. 사진=LG디스플레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신기술을 통한 사업 확대’를 주제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설루션과 P-OLED, ATO, 하이엔드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 등 LG디스플레이만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풀라인업을 적용한 콘셉트카를 공개한다.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에 최적화된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콘셉트카도 전시된다. 콘셉트카의 앞좌석 대시보드에는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필러투필러(P2P)를 초대형 57인치 크기로 탑재했다. 뒷좌석 엔터테인먼트(RSE)’용으로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를 제공한다.

관람객들은 단일 패널로 세계 최대인 ‘57인치 차량용 필러투필러’로 SDV의 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편리하게 체험할 수 있다.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는 평소 천장 안에 말려 숨겨 있다가 필요시 대화면으로 펼쳐져 이동 중 영화 감상이나 게임이 가능하다. 차량용에 적합하도록 영하 40도 혹한부터 영상 85도 초고온까지 극한 환경에서도 정상 작동하는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저소비 전력 기술과 친환경 부품 적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도 공개된다. ‘16인치 노트북용 네오 엘이디 패널’은 사진부터 영상 제작까지 전문가용에 걸맞는 최고의 색 재현력을 구현하면서도 전력 소모가 적다.

미래 환경 보존을 위해 제품 무게의 41%를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14인치 노트북용 패널’도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LG디스플레이는 이 제품의 친환경 소재 사용률을 2030년까지 50% 수준으로 높인다는 방침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는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