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4.5일제 도입을 주장하는 측의 주된 논리는 우리나라의 연간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높다는 것이다.
한국 근로자의 노동시간이 OECD 평균을 웃도는 건 사실이다. 또한 2004년 주 5일제 도입 당시 주 5일제가 실시되면 언론이 나라가 망할 것처럼 떠들었지만, 별다른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그 당시와 비교하면 한국 경제가 직면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경제 위상은 크게 높아졌지만 잠재성장률이 떨어지고 있고, 인공지능(AI) 확산이라는 또 하나의 거대한 파도를 만났다. AI발(發) 산업혁명이 성공적으로 끝나 노동 수요가 급감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전 세계적으로 주도권 싸움 중인 현재까지는 기술 혁신을 위한 노동력 투입이 필수라는 게 산업계의 중론이다.
주 4.5일제 도입을 찬성하는 측은 근로시간이 줄면 저출산이 해결될 것이라고 하지만 이미 대부분 대학 교육까지 받은 청년들까지 일할 의지가 없는 상황에서 더 '놀자 판'이 되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
OECD 평균을 무조건 따라가야 한다는 생각도 매우 위험하다. OECD는 38개 회원국 중 유럽이 27개국으로 프랑스 등 쇠락해 가는 국가들의 통계다.
프랑스는 과도한 달콤함으로 나라에 망조가 들었다. 근로시간이 최저 수준이지만 "더 놀자"만 주장하고, "일 좀 하자" 목소리가 나오면 거리에서 번번이 파업과 시위를 벌인다.
프랑스는 법정 근로시간이 주 35시간이지만 주 35시간도 일하지 않는 공무원들이 넘쳐나자 2019년 특별한 예외가 아니면 주 35시간을 채워 근무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최근에는 공휴일을 이틀 줄이자는 정부 방침에 반발해 17만 명이 거리로 뛰쳐나와 사실상 국가를 마비시켰다.
현재 주 5일 일하면서 주말을 온전히 쉴 수 있는 달콤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은 과거 힘들게 살면서 경제 성장을 이룩한 세대가 있기 때문이다. 미래가 담보되지 않는다면 무리한 실험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 번 쥐여준 달콤함을 다시 빼앗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