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서부·동서·남동발전소 또한 일제히 연료전지 발전소를 늘린다. 발전공기업들이 연료전지 사업을 적극 추진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 발전공기업, 연료전지 발전소 일제히 확대
7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한국중부발전은 지난달 25일 이사회를 열고 인천화력본부 내 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연료전지발전소 규모는 약 15.84MW로 총 사업비는 약 830억5000만원이다.
연료전지 사업을 하지 않던 한국남부발전은 지난 4일 대전광역시, 충남도시가스, 한솔제지와 30MW급 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발전소는 2019년 하반기 착공될 예정이다. 남부발전은 LH공사와 함께 11.44MW와 10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도 추진 중이다.
이같은 추세는 다른 발전공기업도 마찬가지다. 한국서부발전은 서인천연료전지 1단계(11.2MW)와 2단계(5MW) 발전소를 현재 운행하고 있다. 18MW 규모의 3단계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사업을 진행 중이며 발전소는 2018년 완공 예정이다.
한국동서발전도 지난해 12월 충남 서산시 대산산업단지에 50MW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건설하는 공동개발협약(MOU)을 맺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12월 착공해 2019년 11월 상업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2550억원이다.
동서발전은 현재 일산화력본부 내에 1단계(2.4MW), 2단계(2.8MW), 3단계(2.8MW) 발전소를, 울산화력본부 내 2.8MW 규모의 연료전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대산산업단지 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완공되면 연료전지 발전소 용량은 60.8MW로 증가한다.
남동발전 또한 분당열병합 부지 내 연료전지 발전소를 늘릴 계획이다. 현재 1단계(250kW)와 2단계(3.08MW), 3단계(5.72MW) 연료전지 발전소가 상업 생산에 들어갔고, 4·5단계가 내년에 완공된다.
◇ 태양광·풍력 보다 적은 부지, 높은 효율
발전공기업들이 연료전지 발전소를 늘리는 배경에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있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현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 20%까지 늘리는 정책을 추진해 남동발전도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다”며 연료전지 발전소를 늘리는 배경을 설명했다.
새 정부의 정책에 따라 발전공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려 하나 주민들의 반발이 발목을 잡고 있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는 발전소 건설에 따른 민원이 잦아 건설이 지연 혹은 무산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동서발전이 경북 지역에 추진한 영천보현산풍력(40MW)과 기룡산풍력(30MW)은 지난해 8월 주민 반대로 사업이 무산됐다. 주민들은 산림 훼손과 수면 방해를 이유로 발전기 설치를 반대했다.
서부발전이 전남 장흥군에서 추진해온 장흥풍력(16.1㎿) 사업도 사찰 주변에 위치해 환경을 훼손할 수 있다며 주민 반발에 부딪혀왔다.
이와 달리 연료전지 발전소는 상대적으로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남부발전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1MW 당 4000~5000평의 유휴부지가 필요하지만 30MW급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에는 3000평 정도가 필요하다”며 “연료전지는 적은 부지로 지을 수 있어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다”고 강조했다.
연료전지 발전소는 효율성도 높다. 남부발전 관계자는 “육상풍력과 태양광은 이용률이 20% 미만인데 비해 연료전지 발전소는 90%로 높아 도심에 설치할 수 있는 최적의 청정에너지로 꼽힌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의 가중치도 연료전지 발전소가 높다. 발전 설비 용량이 500MW 이상인 발전공기업들은 신재생에너지를 의무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만약 의무발전량을 초과하면 그만큼 REC를 시장에 팔 수 있다.
태양광의 경우 3MW 규모의 발전소 건설 시 0.7배, 같은 용량으로 육상풍력 발전소를 지었을 때 1.0배의 REC 가중치가 부여된다. 반면 연료전지 발전소는 이보다 높은 2배의 REC 가중치를 받을 수 있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