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도로공사, 3D 프린팅 기술 적용 고속도로 구조물 시공…국내 최초

글로벌이코노믹

한국도로공사, 3D 프린팅 기술 적용 고속도로 구조물 시공…국내 최초

공사 기간 단축, 투입인력 감소 성과…경관시설물 등 대상 확대 계획
한국도로공사 안성용인건설사업단 4공구에서 3DCP 기술로 옹벽 시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도로공사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도로공사 안성용인건설사업단 4공구에서 3DCP 기술로 옹벽 시공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가 국내 최초로 3D 콘크리트 프린팅(3DCP) 기술을 적용해 고속도로 시설물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도로공사는 3D 콘크리트 프린팅(3DCP) 기술로 토목구조물 옹벽을 시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공사는 하이시스, 동아이엔지와 함께 높이 3m, 연장 25m의 옹벽 시공을 성공적을 마쳤다.

3DCP 기술은 로봇을 활용해 모르타르 등 콘크리트 소재를 층층이 쌓아 3차원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기술이다.
시공 효과분석 결과 공사 기간이 11일에서 3일로 대폭 단축됐다. 투입인력도 33명에서 12명으로 줄어 경제적 효과를 거뒀다. 건설폐기물을 최소화해 친환경 고속도로 구현이 가능하다.

앞으로 공사는 고속도로 3D 프린팅 건설 활성화를 위해 경관조성, 배수 등 대상시설물에 확대 적용하고 설계 및 시공기술과 절차 등을 표준화할 계획이다.

공사는 이번 시험 시공에 앞서 국내·외 3DCP 기술자료와 업체 조사 등 철저한 검증을 거쳐 지난 6월 고속도로 시설물 3DCP 도입방안을 마련했다.

구조물의 역학적 특성과 경관 디자인 적용 필요성, 고속도로 확대 적용 가능성 검토를 통해 3DCP 방식의 무근 콘크리트 옹벽을 고속도로 시설물에 최초 설치했다.

3DCP 시공기술은 다양한 디자인을 경제적으로 구현하는 장점이 있어 앞으로 10년 내 건설사업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남민 한국도로공사 설계처장은 “3DCP, 건설정보모델링(BIM), 인공지능(AI)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해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이 진일보할 것”이라며 “미래를 이끌어갈 새로운 기술이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