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본시장 본연의 기능이 충실히 수행될 수 있도록 코스피, 코스닥, 파생상품 등 시장별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그는 “내년에는 시장별 특성에 부합하는 시장 본연의 기능 강화와 거래수수료에 편중된 사업 다각화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먼저 코스시장의 경우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배구조를 개편할 방침이다. 코스닥 독립성을 강화하는 일환으로 혁신기업의 진입 요건 정비를 제시했다.
혁신기업 상장의 과실이 시장에 돌아가도록 투자자와 금융투자업계의 수요에 부합하는 신상품 공급 확대도 제시했다.
정 이사장은 코스피의 경우 시장신뢰도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코스피시장은 획일화된 주문주도형 시장 구조에서 벗어나 거래 활성화와 시장신뢰도 제고를 함께 추구할 것”이라며 “투자자로부터 신뢰받는 공정하고 투명한 자본시장을 구축하기 위해 시장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기업 지배구조 개선 및 스튜어드십 코드 정착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도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파생상품시장은 상품 라인업 다각화에 따른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헤지시장 육성에 무게를 뒀다.
정 이사장은 “금리·외환 파생상품을 확충하는 등 기관투자자의 위험관리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라며 “글로벌 투자자의 시장 접근성을 제고하여 기관중심의 건전한 위험관리시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이사장은 수수료 중심의 수익구조를 사업 다각화를 통해 실적 안정성을 높이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사업 다각화와 관련해 거래수수료에 편중된 수익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CCP 등 장외파생상품 서비스체계를 구축하겠다”며 “고부가가치 금융서비스를 제공해 시장정보 및 인덱스 사업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