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경기 침체로 갈 경우 주가가 추가 하락할 수 있다며 향후 2년간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35%라고 말했다. 또 도이체방크는 침체가 발생할 경우 시장 매도세가 평균 이상일 것이라며 즉 하락률이 35~40%가량이나 혹은 S&P500지수 기준 3,000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하락 그리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세다. 하루전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2020년 6월 이후 최대 하락률을 보였다. 나스닥지수도 4.7%가량 급락했다. 월마트와 타깃의 실적 부진 어닝쇼크로 인플레이션 급등에 따른 기업들의 어려움이 본격화됐다는 진단이 잇따랐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공격적인 긴축에 나서고 있다 이 긴축이 성장을 해쳐 경기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2만1천 명 증가한 21만8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뉴욕증시의 예상치 20만 명을 웃도는 수준이다. 필라델피아 연은 지수는 2.6으로 전월 17.6보다 크게 하락했다. 지수가 제로(0)를 웃돌아 경기가 확장 국면을 유지했으나, 제조업 활동은 전달보다 크게 둔화한 셈이다. 미국 백화점 체인 콜스는 분기 순이익이 예상치를 밑돌고, 인플레이션 등으로 실적이 압박을 받았다고 밝혔다. 뉴욕증시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2.7%선이다.
유럽증시는 경기침체 공포에 하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90% 하락한 13,882.30으로 장을 마쳤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 지수는 1.26% 내린 6,272.71로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82% 빠진 7,302.74,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1.36% 하락한 3,640.55를 각각 기록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