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B증권 "삼성전자, 4분기부터 HBM4 초기 생산 단계 진입"

글로벌이코노믹

KB증권 "삼성전자, 4분기부터 HBM4 초기 생산 단계 진입"

삼성전자 CI.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 CI. 사진=삼성전자
KB증권은 29일 삼성전자에 대해 4분기부터 HBM4 초기 생산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며 ‘매수’ 투자의견과 목표가 9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전일 종가는 6만 9600원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현재 삼성전자 1c nm D램 기반의 HBM4 초기 개발 과정 및 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파악돼 내년 1분기 평택 캠퍼스 신규 증설을 통해 2026년 HBM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특히 엔비디아는 HBM4 공급 업체들에게 더 높은 조건의 전력소모 감소와 속도 향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HBM4E의 경우 적층 단수 증가에 따른 집적도와 밀도 상승으로 생산 공정의 난이도 심화가 예상된다"면서 "향후 삼성전자가 1c nm 기반의 HBM4 생산 수율을 안정적으로 달성한다면 내년 HBM 공급량은 큰 폭의 증가세가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삼성전자 투자 지표. 자료=KB증권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 투자 지표. 자료=KB증권

최근 HBM4 내부 양산 승인 절차를 통과한 삼성전자는 4분기부터 HBM4 초기 생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에는 반도체 영업이익 급증으로 4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이란 전망"이라며 "하반기 반도체 (DS) 영업이익은 8조 8000억원으로 전년대비 31%, 상반기 대비 491%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올 하반기 영업이익은 18조원 으로 2021년 하반기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달성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매출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328조원, 영업이익은 40% 증가한 41조원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주가는 파운드리 적자 확대와 HBM 공급 지연 등에 따른 반도체 수익성 악화로 2021년 8월 이후 약 4년간 -7% 하락했으나, 내년부터는 신규 고객 확보와 HBM4 공급 확대로 반도체 실적은 빠르게 회복될 전망”이라며 “이에 따라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악재에 둔감하고 호재엔 민감한 영역에 진입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