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13:29
오월이다. 신록은 푸르르고 온갖 꽃들이 만발해 생기로 충만해 있는 계절, 도심의 소공원을 산책하다가 운 좋게도 은방울꽃을 만났다. 넓은 초록 잎 사이로 마치 수줍음 타는 아가씨처럼 숨은 듯 피어 있었다. 꽃대에 매달린 작은 꽃송이를 자세히 보면 통꽃인데 여섯 갈래의 잎끝이 뒤로 살짝 말려 있다. 순백의 은방울꽃들이 올망졸망 매달려 피어 있는 모습은 신비롭기까지 하다. 바람이 지날 때마다 은은하게 번지는 감미롭고 달콤한 향기가 코끝을 간질이고 은빛 방울 소리가 들릴 듯한 착각마저 인다. ‘좋은 술은 깊은 골목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중국 속담처럼 감미롭고 환상적인 은방울꽃의 향기는 넓고 푸른 잎 사이에 숨다시피 고개2025.04.30 13:56
4월의 산과 들은 생명의 빛으로 가득 차 있다. 온통 꽃이고 푸른 잎이다. 꽃들의 화려한 색과 어우러진 연두와 초록의 잎들, 햇빛이 비친 나뭇잎들은 보석처럼 빛난다. 소리 없는 생명의 아우성이라고나 할까. 이제 천지간이 초록으로 가득하니 생명의 호흡이 느껴지며 가슴이 설레어 숲으로 가는 발걸음이 빨라진다. 북한산 둘레길의 한 자락인 왕실묘역길은 내가 자주 찾는 아침 산책 코스 중 하나다. 길가의 석축 사이에 만개한 영산홍과 철쭉들의 꽃에 취해 숲길로 들어서면 찰랑거리는 초록의 나뭇잎들이 마치 나를 향해 빨리 오라고 손짓하는 듯하다. 산새들의 지저귐과 계곡물 소리, 초록의 잎 사이로 부는 바람 소리에 발걸음이 가벼워진2025.04.23 13:41
봄이 깊다. 비바람에 꽃잎을 내주고 허룩해진 벚나무 가지를 초록의 잎들이 채우고 있다. 초록은 살찌고 꽃의 붉은색은 야위어 가는 녹비홍수(綠肥紅瘦)의 시절이다. 이즈음의 숲은 이제 막 새잎이 돋기 시작해 연두와 초록이 어우러져 마치 춘몽에 취한 것만 같다. 연두란 제대로 여물지 않은 풋완두콩의 콩꼬투리 속 여리디여린 완두콩이 내는 연한 푸른색을 이르는 말이다. 도종환 시인은 연두의 아름다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노래하기도 했다. “초록은 연두가 얼마나 예쁠까?/ 모든 새끼들이 예쁜 크기와 보드라운 솜털과/ 동그란 머리와 반짝이는 눈/ 쉼 없이 재잘대는 부리를 지니고 있듯/ 갓 태어난 연두들도 그런 것을 지니고 있다2025.04.16 14:23
세상이 온통 벚꽃 세상이다. 아침에 창을 열 때마다 맞은편 초등학교 운동장의 벚나무 한 그루가 가지 가득 환한 벚꽃을 피워 달고 나를 반긴다. 며칠 새 일제히 꽃망울을 터뜨린 벚꽃으로 눈길 닿는 곳마다 눈이 부실 지경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꽃은 장미, 제일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라고 하지만 벚꽃만큼 많은 사람이 환호하며 사랑을 몰아주는 꽃도 없지 싶다. 봄이 되면 기상청과 모든 매스컴이 지역별 벚꽃의 개화 시기를 알려주며 수선을 떨고, 사람들은 축제를 준비하기도 한다. 굳이 꽃에 관심 없는 사람조차도 눈부시게 피어난 벚꽃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탄성을 자아내며 벚꽃의 화사함에 매료되어 가던 발걸음을 멈2025.04.09 13:36
어제는 종일 고운 봄비가 내렸다. 바싹 마른 숲에 산불이 번져 시커멓게 타버린 경북의 산야를 생각하면 늦게 오는 비가 원망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었지만, 이제라도 내리는 비가 산천에 초록 물감을 풀어놓을 것을 생각하니 오는 비가 고맙기만 하다. 시절이 어수선해도 봄은 오고, 팍팍하기만 한 나의 삶과 무관하게 꽃은 핀다. 이 엄연한 현실을 받아들이고 나면 나의 투정은 엄살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세상사는 그렇게 모든 것이 이성적이고 똑 부러지지 않는다. 흐린 봄 하늘처럼 담담해진 마음을 달래려고 집을 나선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좋겠다는 일기예보도 뒤로한 채 거리에 나섰다. 비에 씻긴 하늘에서 쏟아지는 투명한 햇빛이2025.04.02 13:32
4월이다. 성가신 꽃샘바람과 폭설 속에서도 어김없이 봄은 찾아와 차가운 땅속에서 긴 시간을 견딘 새싹들이 하나둘 얼굴을 내민다. 산수유가 피고 생강나무꽃이 피고, 청매화·홍매화가 새초롬히 피어나 이 땅에도 봄이 왔음을 조용히 일깨워주고,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 꽃나무 가지마다 어여쁜 꽃들이 피어나 세상을 환하게 밝히고 있다. 여리디여린 초록의 새싹들이 언 땅을 비집고 지상으로 고개를 내미는 모습은 바라만 봐도 가슴이 콩닥콩닥 뛴다. 하지만 이번 봄은 무연히 맞이할 수가 없다. 열흘 동안에 걸쳐 경북 지역의 산과 들을 까맣게 태워버린 대형 산불 때문이다. 산의 초목들뿐만 아니라 마을과 농작물까지 태워버려 삶의 터전을2025.03.26 15:03
북한산을 찾았다. 부실한 건강도 챙길 겸 산중의 봄소식이 궁금하기도 했다. 기왕이면 정상에 올라 일출을 보겠다는 욕심이었는데 시계를 보니 서둘러도 시간을 맞추긴 어려울 듯싶어 마음을 접었다. 등산로가 시작되는 계단을 얼마 오르지 않았는데 이내 숨이 차고 다리가 무겁게 느껴졌다. 수분지족(守分知足)이란 말이 생각났다. 내가 좋아하는 사자성어 중 하나인데 분수를 지켜 스스로 만족할 줄 안다는 뜻이다. 자신의 분수를 알고 스스로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안다면 헛된 욕심을 부릴 까닭이 없다. 새해 들어 자주 산에 오르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도 건강한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아야겠단 생각에서였다. 복잡한 시내를 벗어나 조금2025.03.19 13:41
아파트 화단의 산수유 한 그루가 노란 꽃망울을 곧 터뜨릴 것만 같더니 다시 몰아치는 꽃샘바람에 떨고 있다. 남녘에는 햇살의 간질임에 이미 매화가 만개했다는 소문인데, 사납게 불어대는 꽃샘바람을 어찌 견딜까 싶어 못내 걱정스럽다. 하지만 꽃샘바람이 제아무리 맵차다 해도 피는 꽃을 막아서지는 못한다는 걸 나는 알고 있다. 오히려 시샘하는 바람도 없이 꽃이 핀다면 봄이 심심할지도 모를 일이다. 손끝이 시려 오는 꽃샘바람 속을 걸으며 시경(詩經)에 나오는 ‘매경한고발청향(梅經寒苦發淸香) 인봉간난현기절(人逢艱難顯其節)’이라는 구절을 떠올렸다. 매화는 혹한의 추위를 견딘 후에야 맑은 향기를 발산하고, 사람은 고난을 만나야2025.03.12 13:40
재래시장 입구 노점에서 6000원을 주고 칼란코에 화분 3개를 샀다. 주인은 검정 비닐봉지에 화분을 담아 건네며 원래 3000원씩은 받아야 하는데 꽃이 일찍 피어 싸게 파는 거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총총걸음으로 집으로 와 분갈이를 하여 창가에 나란히 놓았더니 칙칙하던 집 안이 환하다. 겨우 작은 화분 몇 개 들여놓았을 뿐인데 봄빛이라도 스친 듯 이토록 집 안이 환해질 수 있다니…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꽃송이를 더하며 소담스럽게 피어나는 꽃을 보며 나는 온갖 꽃들이 만발한 봄 들판을 마음속으로 가만히 그려본다. 이제 우수·경칩도 지났으니 꽃 폭죽 터뜨리며 곧 나의 뜨락에도 봄이 도착할 것이다. 며칠 전만 해도 어딘가엔2025.03.05 13:48
육지에서 봄빛이 제일 먼저 닿는다는 해남 여행길에 달마고도를 걸었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소백산맥이 두륜산을 지나 바다를 향해 내달리다가 급히 멈춰 선 듯 우뚝 솟은 산이 달마산(해발 489m)이다. 국토의 가장 남쪽 땅끝에 있는 달마산은 기암괴석 흰 바위들이 빼어나고, 수려한 풍광과 장엄한 기상으로 남도의 소금강이라 불린다. 약 8㎞에 이르는 달마산 능선 길인 달마고도는 관음봉-달마봉-도솔봉으로 이어지는 암릉 길과 별도로 미황사 주지가 앞장서서 250여 일 동안 40여 명 인부와 함께 옛 암자로 다니던 길과 임도를 삽과 곡괭이로 고치고 이어 만든 길로 2017년 11월 열었다. 7~8부 능선에 있는 17.74㎞의 이 길은 달마산2025.02.26 13:15
봄빛이 제일 먼저 닿는 곳, 땅끝마을이 있는 해남 일대로 여행을 다녀왔다. 우수절 아침 용산역에서 KTX 열차를 타고 나주까지 가서 다시 승용차로 갈아타고 2박 3일 동안 나무를 찾아다녔다. 외기는 냉랭하고 바람도 사납게 불었다. 하지만 이 추위는 우수절 얼음같이 곧 사라지고 봄기운이 꽃망울을 터뜨릴 것이다. 제일 먼저 찾아간 것은 나주 송죽리의 금사정 동백나무다.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로 조광조(趙光祖·1482~1519)는 죽고 개혁 세력의 선비들은 숙청되었다. 그 개혁 세력 중에서 조광조를 따르던, 나주가 고향인 유생 11명이 금강계(錦江禊)를 조직했다. 영산강 아래 터에 정자를 지어 금사정(錦社亭)이라 이름 짓고, 그 앞에 동백2025.02.19 13:28
수구초심(首丘初心)이라 했던가. 여우도 죽을 때가 되면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향하듯 나이 들수록 마음의 풍향계가 자꾸만 고향 쪽으로 향한다. 설중매를 찾아 눈밭을 헤매는 선비처럼 틈만 나면 고향을 찾아간다. 어렸을 적엔 밖으로만 눈길을 주느라 미처 알지 못했던 고향의 비경을 찾아 돌아보는 재미도 쏠쏠하고, 마을마다 품고 있는 숨겨진 이야기들을 알아가는 즐거움도 고향 나들이를 잦게 한다. 꽃을 보기 위해선 남쪽으로 내려가야 하지만 내 고향은 한수 이북의 포천이라서 북쪽으로 가야 한다. 아직은 봄이 멀기만 한 2월, 모처럼 하루를 빌려 관인문화마을을 찾았다. 이곳은 포천 중에서도 가장 북쪽에 자리한 강원도 철원2025.02.12 14:12
올겨울은 유난히 눈이 잦다. 자주 내릴 뿐만 아니라 한 번 내렸다 하면 폭설이어서 온 세상을 하얗게 바꿔 놓는다. 여기저기서 눈 피해가 속출하기도 하지만 순백의 눈은 우리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찰리 채플린은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이라고 했는데 눈을 바라보는 관점도 그와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멀리서 보면 마냥 아름다운 풍경이지만 막상 눈길을 걷다 보면 한 걸음 옮기는 일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흰 눈밭을 보면 자신의 발자국을 처음으로 새기고 싶은 마음에 조심스러움과 설렘으로 눈밭을 걸으며 길을 만들곤 한다. 퍼붓던 눈이 그치자마자 집을 나선 것도 그런 이유에1
삼성전자, 2억7900만 달러 특허소송 전격 합의2
암호화폐 전문가 "리플 XRP에 더 낙관적이어야"...'미친 목표가' 제시3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돌연 급락" 뉴욕증시 연준 FOMC 금리인하4
리플 XRP·이더리움 등 폭등 알트코인 시즌 본격화... 비트코인 주도세 마침표5
리플 XRP, 암호화폐 급여 시장 '게임 체인저'로 부상6
대한항공, 3000억 원 규모 보잉 777 개조 사업 전면 보류7
한국 ‘배터리 3사’,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 75% 장악8
테슬라, 최저가 사이버트럭 출시 5개월 만에 단종9
미국,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량' 지정 임박... 연내 발표 가능성 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