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04 06:16
일본 완성차 업계 ‘빅3’ 가운데 하나인 혼다는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에서 연간 1만대 판매를 개척한 첫 수입차 업체이다. 혼다는 한국 진출 첫해인 2004년 1475대를 판매해 업계 5위에 오른 이후 꾸준히 판매 상위 4위 안에 들었다. 그러다 한국 진출 4년만인 2008년 1만2356대로 국내 수입차 업계 1위에 올랐다. 1987년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이 개방된 지 21년 만이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한국 진출 각각 23년과 22년만인 2010년 1만대 판매를 돌파한 점을 고려하면 혼다 차량의 우수성을 대한민국 고객이 입증한 셈이다. 다만, 혼다는 독도 영유권 문제를 놓고 한국와 일본이 극명하게 대립한 2009년 판매에서는 전년보2019.09.27 06:23
‘웅장하고 화려하다.’ 올해 상반기 한국에 상륙한 BMW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7을 정의한 말이다. 독일의 고급완성차 브랜드 BMW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브랜드 정체성을 살린 라인업을 속속 선보인데 따른 것이다. 이번에 만난 X7 역시 최근 출시된 세단 7시리즈에 버금가는 최첨단 안전편의 사양을 대거 기본으로 지녔다. X7 라인업 가운데서도 최상위 트림인 xDrive M50d를 타고 서울 도심을 26일 달렸다. 스마트키를 지니고 운전석 도어를 열자 화려한 1열이 눈에 확 들어온다. 종전 최상위 트림이던 X6과는 차원이 다르다. 크리스탈 재질의 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었다. 쿼드터보 직렬 6기통 디젤 엔진2019.09.20 06:14
단일 차량으로 세계에서 가장 주행 거리가 긴 자동차는 1961년 생인 볼보의 P1800이다.한 미국인은 1961년형 P1800으로 42년간 지구에서 달(38만㎞)까지 6번을 왕복하고도 달까지 한번 더 갈 수 있는 거리 이상(510만㎞)을 달렸다. P1800은 이 같은 기록으로 2003년 세계 기네스에 올랐으며, 현재까지 P1800의 기록을 깬 차량은 등장하지 않았다.아울러 007시리즈의 주인공이던 고(故) 로저 무어의 애마로 P1800은 유명세를 탔다. 그러던 P1800이 볼보의 3세대 신형 S60으로 환생했다. 볼보의 미국 디자인센터장 티 존 메이어가 P1800에서 영감을 받아 신형 S60을 디자인 한 것이다.볼보의 신형 S60을 타고 인천 영종도에서 경기 시흥시까지 120㎞2019.09.06 06:28
볼보의 전략 모델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 시리즈와 다목적 차량(MPV) V 시리즈 가운데 마지막으로 V90 크로스컨트리 D5를 타고 지난 주말 서울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 등을 달렸다. 이번 시승에서 얻은 결론은 최근 시승한 5개의 XC와 V 시리즈 가운데 V90 크로스컨트리가 D5의 완성도가 가장 높다는 것이다. 다른 모델들도 탁월하지만, V90 D5가 그만큼 잘 다듬어 졌다는 뜻이다. 서울 역삼동 GS타워 앞에서 V90 D5를 만났다. V90 D5의 외관은 XC시리즈와 V시리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토르망치가 누워 있는 볼보의 대형 발광다이오드(LCD) 헤드라이트와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 그 위에 상승 의미를 담은 볼보의 엠블2019.08.23 06:17
QM3은 2013년 말 당시 박동훈 르노삼성자동차 부사장이 전년 45%가 넘는 자사의 내수 판매 감소세를 극복하기 위해 야심차게 모기업 프랑스 르노에서 들여온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캡처’의 우리나라 이름이다. 당시 1000대 한정으로 들여온 QM3은 판매 개시 7분 만에 완판 되면서 일찌감치 국내 돌풍을 예고했다. 실제 2014년 QM3은 모두 1만8191대가 판매돼 자사의 전체 판매(8만3대) 가운데 22.7%의 비중을 차지하면서 같은 해 자사의 내수 판매 33.3%의 급성장을 이끌었다. 이후 경쟁사가 앞다퉈 소형 SUV를 출시하면서 내수에서 QM3의 국내 입지는 좁아졌지만, 여전히 르노삼성의 전략모델이다. 현재 유럽에2019.08.16 06:16
XC40은 볼보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C시리즈의 막내로 불린다. 다만, XC시리즈의 마지막 시승에서 느낀 점은 XC40이 장남 XC90에도 전혀 밀리지 않는 다는 것이다. XC40 T4를 타고 서울 강변북로를 달려 경기도 구리를 찍고, 한강변 서울마리나를 14일 찾았다. XC40은 XC시리즈 가운데 가장 낮은 수를 지니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으로 착각한다. XC40 T4는 2.0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해 90, 60과 동급이다. 차량 특성에 맞게 차체 크기와 안전편의 사양, 가격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실제 90의 전장과 전폭, 전고, 휠베이스는 각각 4950㎜, 1960㎜, 1775㎜, 2984㎜로 XC시리즈 가운데 가장 크다. 90이 볼보의2019.08.09 06:51
4륜구동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명가 피아트크라이슬러(FCA)의 지프를 대표하는 차량은? 모두 랭글러라고 생각할 것이다. 틀린 답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정답도 아니다. 지프는 1987년 랭글러를 선보였다. 이보다 앞서 지프는 체로키를 1974년 세상에 내놨다. 체로키가 랭글러보다 13살 형인 셈이다. 4월 한국에 상륙한 모두 12종의 지프 가운데 체로키 2.2 디젤 오버랜드를 타고 8일 자유로를 달렸다. 이번에 시승한 차량은 지프를 창립한 ‘윌리스 오버랜드’의 성을 딴 ‘오버랜드’ 트림이다. 주차장에서 만난 신형 체로키의 전면은 헤드라이트가 기존에는 밋밋했지만, 이번에는 쫙 찢어진 야수의 눈을 형상화2019.08.02 04:21
“지난 10년간 볼륨 확장에 주력했죠. 이제는 브랜드 정체성에 맞게 양보다는 질, 프리미엄을 지향할 계획입니다.” BMW그룹 코리아(대표이사 한상윤)에서 홍보를 총괄하고 있는 주양예 상무의 말이다. 독일의 고급(프리미엄)완성차 브랜드인 BMW는 우리 정부가 수입차 시장을 개방한 이듬해인 1988년 한국에 진출해 수입차 주요 브랜드로 자리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그러다 BMW 코리아는 2009년 업계 1위에 오르더니, 2015년까지 7년 간 부동의 업계 1위를 달렸다. 다만, 2015년 9월 불거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배기가스 조작사건)로 디젤 세단의 인기가 사그라 들면서 BMW는 2016년 업계 2위로 밀렸다. BM2019.07.26 03:20
전기자동차 전문 업체 미국 테슬라의 전기차는 하이엔드(고가격·고성능)를 구현했다. 이는 테슬라가 시장 진출 초기 부가가치를 극대화 한 다음, 보급형 차량을 출시한다는 경영전략을 구사하는데 따른 것이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X에 이어 스포츠 세단 모델 S를 타고 서울 강남 청담에서 당산, 성수동 서울 숲, 강북 경희대학교, 다시 청담까지 서울 도심을 25일 달렸다. 모델 S가 모델 X와 다른 점이 있다면 도어핸들이 X는 차체와 같은 높이지만, 모델 S는 평평하다 누르면 튀어 나온다. 도어핸들은 진공층착한 재질을 사용해 차체 색상과 대비되게 한 점은 두 모델 모두 같다. 이번에 시승한 모델 S는 X와 같은2019.07.19 06:16
1980년대 학창 시절 한 잡지에서 차량 10대가 층층이 쌓여 있는 사진을 봤다. 자동차 강성을 강조하면서 안전을 홍보하기 위한 것인데, 바로 스웨덴 볼보 차량이었다. 전통적으로 볼보는 안전의 대명사로 세계 완성차 시장에 자리매김했다. 이후 자체 강성이 유사시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한다는 보고서가 나오면서 완성차 업체들이 차체 강성을 대놓고 알리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최첨단 안전장치를 개발헤 대거 장착하면서, 차체 강성을 다시 높이고 있다. 안전의 대명사인 볼보 역시 여기에 적극 나서면서 한층 업그레이드 된 차량 안전을 구현하고 있다. 볼보가 올해 3월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 크로스컨2019.07.12 06:32
한상윤 BMW그룹 코리아 대표가 올해 상반기 취임하자마자 자사의 고성능 브랜드를 ‘M’으로 통일하고 마케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는 BMW 브랜드가 고급 브랜드임을 감안한 전략이면서, 고부가가치를 추구해 판매 대수보다는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포석이다. 이를 감안해 최근 선보인 BMW X4 M40d를 타고 11일 자유로를 달렸다. BMW X4는 2014년 출시 이후 20만대 이상이 판매된 BMW의 스테디셀러로 이번 X4 M40d는 2세대 모델이다. 서울역 인근 KDB 생명 주차장에서 만난 X4 M40d는 X6의 동생 정도로 보인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차량으로는 드물게 쿠페형 모델이라는 뜻이다. 종전 쌍용차의 액티언 스포츠가2019.06.21 06:55
#. 최근 자유로.벤츠 SLK350 AMG 카브리올레가 달리고 있다. 일부 속도를 즐기는 운전자의 경우 종종 고속국도 등에서 옆차선 차량과 속도 경쟁을 펼친다. 기자가 모는 차로 벤츠 SLK350 AMG를 치고 나갔다. 이어 빈 공간에서 SLK350 AMG가 기자 차량을 추월한다.벤츠의 튜닝 브랜드 AMG가 메카니즘(엔진) 튜닝한 SLK350이 배기량 3500㏄, 최고 출력 305마력, 최대 토크 36.7㎞.m의 성능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SLK350의 제로백은 5.4초, 최고 속도는 250㎞/h이다.이에 질세라 가속 패달에 힘을 실자 기자가 탄 차량이 페라리와 포르쉐 못지 않은 치고나가는 힘과 속도, 즉답성으로 SLK350 AMG를 멀찌감치 따돌린다. 이후 SLK350 AMG는2019.06.14 07:14
볼보의 올해 대중 전략차인 XC60 T6 인스크립션을 최근 만났다. XC60 T6을 정의한다면 7년 전 탔던 XC60 디젤과는 차원이 다른 안전과 주행 성능, 가성비를 두루 갖춘 팔방미인 정도. 볼보 XC60 T6는 XC90의 유전자(DNA)를 고스란히 재현했다. 차량이 고급스럽고 화려하다는 뜻이다. XC60 D5 디젤이 투박한 마당쇠라면, 가솔린 XC60 T6은 양반가 규수라고나 할까? 이로 인해 차량 외관은 XC90의 축소판이다. 전면 격자그릴이 21개 슬롯 그릴로 변했고, 볼보의 풀 발광다이오드(LCD) 시스템의 헤드라이트가 차량 전면부를 장식하고 있다. 측면 역시 하부에 진공증착한 재질의 몰딩에 ‘인스크립션’이 새겨있다. 측면 디자인의 정점은1
인텔, 유리기판 사업 철수 검토...SKC·삼성전기 등 국내 기업에 기회2
HD현대·한화, 27조원 美 함정 정비시장 뚫었다...'K조선 동맹' 中 아성 도전3
트럼프 감세법안 마침내 최종 통과... 뉴욕증시 조기 폐장 비트코인 "OBBBA 환호 폭발"4
리플 CEO "XRP는 주식 아니다"...소유권 혼란 직접 해명5
트럼프 “170개국에 개별 협상보다 단일 관세 통보”…5일부터 발송 시작6
은행 인가·마스터 계좌·RLUSD...XRP 발전 “예측대로?”7
HD현대중공업 노조, 파업 찬반투표 ‘가결’…64.04% 찬성8
中 '배터리 2시간 생존법' 세계 최초 시행… 글로벌 車 업계 지각변동 예고9
방산주 일제히 하락…한화에어로스페이스 4.65%↓'털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