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3.31 06:00
현대상선이 최근 내년 2분기에 인수할 예정인 2만 3000TEU급 12척 등 친환경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에 스크러버를 장착하기로 함에 따라 이들 선박의 크기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3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2만3000TEU급 컨테이너는 세계 최대 규모(메가막스)의 선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선박은 컨테이너 2만3000개를 실을 수 있는 초대형 컨테이너선이다. 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한 개를 말한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9월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과 이들 선박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대우조선해양이 7척, 삼성중공업이 5척을 열심히 건조하고 있다. 이들 선박은 세계 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길이나 너비가 어마어마하2019.03.29 11:07
삼성중공업이 미국 선사 페트로브라스로부터 손해배상 명목으로 소송을 당했다. 삼성중공업은 27일 페트로브라스로부터 손해배상 청구소송 소장을 송부 받았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07년 또 다른 미국 선사 ‘프라이드’와 드릴십 1척 건조 조건으로 6억4000만달러(약 7200억원) 에 달하는 선박건조계약을 체결했다. 프라이드는 해당 드릴쉽을 인도받은 2011년부터 페트로브라스와 5년 용선계약을 맺은 바 있다. 페트로브라스는 삼성중공업과 프라이드와의 드릴십 건조 체결 과정에서 중개인에게 지급된 중개수수료 일부가 부정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페트로브라스는 프라이드와 비싼 용선 계약을 체결하게 돼 2억2019.03.27 16:53
가스운반 등을 하는 에너지 물류전문회사 KSS해운이 액화석유가스(LPG) 시장 변화와 선형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대중공업과 신형 LPG 운반선 개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1969년 설립된 KSS는 가스선박 15척, 케미칼 선박 9척, 액화천연가스(LNG) 지분참여선박 4척 등 28척으로 이뤄진 선단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 2025억 400만원, 영업이익 471억 1000만원을 달성했다. 이번 MOU의 주요 내용은 선사의 운항 경험과 조선소의 선박사양, 건조기술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는 것이다.MOU 체결로 KSS해운은 현대중공업이 개발 중인 8만4000CBM(㎥)급(옛 파나막스)과 9만CBM급(신파나막스) LPG선을 도입할 수 있는 기회2019.03.26 15:09
미극 해안경비대 소속 함정이 지구 반대 편 한국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긴장이 극도로 고조되고 있는 대만해협을 통과한 데 이어 제주항을 방문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와 일본 등 국제사회가 북한의 선박을 이용한 불법환적 감시를 강화하고 있는 시점에 제주항을 방문에 관심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미국 국방부는 해군 소속 '커티스 윌버' 유도미사일 구축함과 해안경비대 소속 버솔프 경비함이 24일 대만해협을 통과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 본토 연안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미 해안경비대 경비함이 동아시아까지 이동해 작전을 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와이 호놀룰루 소2019.03.25 18:23
대한해운이 국내 최초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선(연료공급선)을 운행 할 예정이다.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가 2020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 LNG 급유가 가능한 LNG 벙커링선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대한해운은 올해 말 삼성중공업으로부터 7500㎥급 LNG 운반선 2척을 인수 받아 운항을 시작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해당 LNG 운반선 2척 중 1척을 LNG 벙커링선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대한해운은 국내 최초로 LNG 벙커링 선박을 운용해 다양한 사업을 모색중이다. IMO 환경규제가 시행되는 2020년부터 LNG 운반선(LNG 운송하는데 사용), LNG 벙커링선(LNG를 다른 선박에 급유하는 선박), LNG추진선(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2019.03.24 19:27
삼성중공업이 지난 22일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척을 수주했다고 공시함으로써 올해 수주한 LNG선은 모두 7척으로 늘어났다. 조선업계는 LNG수요 증가에 따른 발주 증가와 삼성중공업의 기술력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이 지난 22일 수주했다고 공시한 LNG선 가격은 2154억원, 1억 9000만 달러다. 발주사는 아시아 지역 선주라고만 삼성중공업은 밝혔다. 이 선박은 2022년 3월말까지 인도할 예정이다.삼성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포함해 올해 들어 LNG 운반선 7척, 13억 달러(약 1조4500억 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수주목표 78억 달러 (약 8조8000억 원)중 17%를 달성한 것이다.삼성중공업은 미주지역 선사에2019.03.22 17:47
현대상선이 2020년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에 선제대응하기 위해 스크러버(Scrubber) 설치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현대상선은 7개사와 친환경설비(Scrubber) 설치 상생 펀드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스크러버는 해수나 담수로 선박의 배기 가스를 세정해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설비다.IMO는 2020년 1월1일부터 공해상에서 운항하는 모든 선박의 황산화물 배출 기준을 현재의 3.5%에서 0.5%로 낮추는 규제를 시행한다. 규제 대응책으로 스크러버 설치나 저유황유 또는 액화천연가스(LNG) 사용이 제시되고 있다.22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현재 운항 중인 주요 컨테이너선 19척에 내년 상반기까지 스크러버를 설1
리플 XRP가 SWIFT 대체할까 보완할까...챗GPT·그록에 물었더니2
美 이민국, 현대차 조지아 공장 급습…LG 합작 배터리 공장 공사 중단3
리플 XRP, 규제 재분류로 기관 투자 문턱 넘어 새로운 도약4
SEC 암호화폐 처벌 규정 "폐지" 뉴욕증시 제도금융권 편입5
뉴욕증시 "고용보고서 골디락스" 연준 FOMC 9월 금리인하 긴급수정6
에이비엘바이오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결과 긍정적...주가 강세7
아이온큐, 합성 다이아몬드 혁신으로 양자 네트워크 대량생산 시대 열다8
미국, '조선 명가' 재건 위해 한국서 기술 배운다9
맘스터치, 매출 확대 첨병 점찍은 피자 메뉴 확대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