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아문디 “美 스테이블코인 정책, 글로벌 결제 시스템 불안정 초래” 경고

글로벌이코노믹

아문디 “美 스테이블코인 정책, 글로벌 결제 시스템 불안정 초래” 경고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미국채 수요 촉진 불구...달러 약세 심화시킬 수 있어"
프랑스 파리 아문디 본사 근처를 사람들이 걷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프랑스 파리 아문디 본사 근처를 사람들이 걷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아문디(Amundi)는 최근 미국 상원을 통과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으로 인한 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의 급속한 확산이 글로벌 자금 흐름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고, 국제 결제 시스템의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고 3일(현지시각) 경고했다.

미국 상원은 지난달 미국 달러에 연동된 암호화폐인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는 법안인 ‘지니어스(GENIUS)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운영을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며, 시장의 제도권 편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미국 상원을 통과한 이 법안이 하원에서도 승인되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각국은 자국민들이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대거 매입할 경우 자국 경제의 이른바, '달러화(dollarization)' 현상이 가속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아문디 자산운용의 뱅상 모르티에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 법안은 천재적인 발상이 될 수도 있지만, 동시에 매우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의 전 세계적 확산이 본격화하면서 통화 주권과 금융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JP모건은 유통 중인 스테이블코인의 규모가 향후 수년 내 약 5000억 달러까지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 일각에서는 이 규모가 최대 2조 달러에 달할 수 있다는 추정도 나왔다.

‘지니어스 법안’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미국 국채 매입 수요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막대한 재정적자에 직면한 미국 정부에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미국은 물론 다른 국가들에도 잠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문디의 모르티에는 “이러한 구조는 미국 달러에 대한 대안을 만들어내는 셈”이라며 “이는 오히려 달러 약세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한 국가가 자국 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추진한다면, 이는 암묵적으로 ‘달러가 그리 강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의 98%가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 있지만, 전체 거래의 80% 이상은 미국 외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

지난 4월 지안카를로 조르제티 이탈리아 재무장관은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정책이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보다도 유럽 금융 안정성에 “훨씬 더 위험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 은행 계좌 없이도 달러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은 수백만 명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라며 “이는 각국의 통화 주권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결제은행(BIS)도 스테이블코인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유사한 경고를 내놨다. BIS는 스테이블코인이 각국의 통화 주권을 약화시키고, 투명성 문제를 야기하며 신흥국에서 자본 유출을 촉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문디가 관리하는 2조 유로(약 2조360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모르티에는 아직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완전히 입장을 정하지 않았지만, 대규모 채택이 금융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모르티에는 ‘달러라이제이션’ 문제 외에도, 스테이블코인이 사실상 ‘유사 은행’ 역할을 하게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람들이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자금을 스테이블코인에 예치하게 될 것이고, 이들 코인이 직접적인 결제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는 전 세계 지급결제 시스템을 잠재적으로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 “이것이 과연 좋은 생각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