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HD현대, 한·미 정상회담 맞춰 마스가 1호 협약

글로벌이코노믹

HD현대, 한·미 정상회담 맞춰 마스가 1호 협약

한·미 정상회담 전후 광범위 협력 협약
산업은행·수빅조선소 보유 서버러스와 MOU…건조·MRO 지원할 듯
우리나라 조선업을 대표하는 HD현대중공업의 울산 조선소. 사진=HD현대이미지 확대보기
우리나라 조선업을 대표하는 HD현대중공업의 울산 조선소. 사진=HD현대
HD현대가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 맞춰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와 관련한 첫 번째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는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KDB산업은행, 미국계 사모펀드(PEF) 서버러스 프런티어와 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맺는다. 이번 MOU는 이날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개최에 맞춰 마련됐다.

HD현대는 이번 MOU를 시작으로 건조, 기술 지원, 인력 양성 등 미국과 조선업 협력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MOU 조인식에 참석하는 곳 중 눈에 띄는 서버러스는 2022년 한진중공업의 필리핀 수빅조선소를 인수한 곳이다.
HD현대의 조선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은 수빅조선소를 서버러스로부터 10년 임차, 한·미 조선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올해 말부터 본격적인 선박 건조 작업을 시작하며, 필리핀 정부로부터 발주받은 함정의 유지·보수·정비(MRO) 작업을 수행할 계획이다.

손발을 맞춰온 서버러스까지 가세함에 따라 HD현대와 미국의 조선 협력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지난해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를 인수한 한화오션과 MRO 수주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HD현대는 최근 미국 주요 군용·상업용 조선업체들과 역량 구축을 위한 자문 제공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펼치고 있다.

이번 협약식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기간에 이뤄지는 첫 번째 마스가(MASGA) 이벤트가 될 전망이다. 마스가는 중국에 뒤처진 미국 조선업 부활을 위해 우리나라가 1500억 달러(207조 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으로 한·미 통상 협상의 핵심축이다.

업계 관계자는 "K-조선업에 대한 미국 현지의 기대감이 상당한 수준"이라면서 "HD현대가 실제로 진출하면 수주할 수 있는 일감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HD현대가 미국 현지 조선소 투자를 발표할지도 관심사다.

HD현대는 올해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와 '선박 생산성 향상과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맺었고,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CO)와 '미국 상선 건조를 위한 전략적·포괄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 양국 조선업 인력 양성 등을 위해 서울대와 미국 미시간대, 매사추세츠공과대(MIT) 교수진 40여 명이 참여한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을 발족시키기도 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