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 내달 1일 경기도 시내버스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가동

글로벌이코노믹

고양시, 내달 1일 경기도 시내버스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가동

마을버스·전세·관용버스·택시 총동원…지하철 연계로 시민 불편 최소화 총력
고양시 비상수송 대책 안내 포스터. 자료=고양시이미지 확대보기
고양시 비상수송 대책 안내 포스터. 자료=고양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의 총파업 예고로 출퇴근길 대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29일 시에 따르면 노사 협상이 9월 30일 조정회의에서 최종 결렬될 경우, 10월 1일 첫차부터 고양시 관내 시내버스 32개 노선, 약 350대의 운행이 중단될 예정이다. 이번 파업은 숭례문, 여의도, 강남, 인천공항 등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광역버스와 시내 주요 노선을 포함해 출퇴근길 시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파업 노선에는 △숭례문 방면(1000, 1200, 1900, 790, 799, M7119) △여의도·영등포 방면(1100, 1082, 1500, 830) △강남 방면(9600, 9700, M7412) △인천공항 방면(3300, 3200, 7400, 7500) △신촌 방면(65, 82) △상암DMC 방면(66, 730) △고양시내 순환(11, 55, 67, 850, 999(N999), 60)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시는 대체 교통수단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마을버스 81개 노선과 파업 대상에서 제외된 시내버스 17개 노선을 출퇴근 시간대 집중배차하고, 예비차량을 투입해 증회 운행한다. 주요 지하철역과 연계 운행도 강화한다.
또 전세버스 10대와 관용버스 5대를 확보해 출퇴근 시간대 통일로·중앙로·주요 거점 정류소를 경유하도록 배치한다. 택시 수요 분산을 위해 법인 및 개인택시 업계에도 협조를 요청해 정류소 주변 집중배차에 나선다.

시는 파업 종료 시까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하며 주야간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한다. 교통국 직원과 현장 인력을 주요 정류소에 배치해 시민 안내를 강화하고, 운행 중단 및 대체 교통수단 정보는 시 홈페이지, SNS, 정류장 안내문, 버스정보안내기(BIT)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예고된 파업으로 시민 불편이 불가피한 만큼 마을버스,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을 사전에 확인하고 평소보다 여유 있게 이동해 달라”며 “시도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