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서 열린 'ESMO'서 임상 1상 결과 발표
일부 환자서 부분관해 및 장기 안정병변 관찰
일부 환자서 부분관해 및 장기 안정병변 관찰
이미지 확대보기22일 한미사이언스 따르면 한미약품은 지난 17일부터 21일(현지시각)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에 참가해 HM97662에 관한 임상1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 HM97662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저해 기전'을 통해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 대비 우수한 항암 효능과 내성 극복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혁신 표적 치료제로 개발됐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로 불리는 EZH1과 EZH2 단백질은 암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주요 인자로 이 두 단백질을 동시에 제어해 '폴리콤 억제 복합체 2(PRC2)'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EZH2만 선택적으로 저해할 경우 EZH1이 상보적으로 활성화돼 약물 내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두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저해 방식이 보다 유망한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HM97662의 임상1상 시험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 및 약동학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으며 일부 환자에서 초기 항종양 활성이 관찰됐다. 임상1상 시험에는 총 28명의 환자가 참여했으며 50~350㎎범위의 7개 용량군으로 하루 1회씩 투여를 받았다. 대부분의 환자는 4차 이상의 표준 치료를 경험했으며 대안 치료제가 제한된 고위험군이었다. HM97662는 치료 중단 또는 사망을 초래하는 중대한 독성 없이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부분관해(PR)'와 '장기 안정병변(SD)'이 관찰됐다.
HM97662는 현재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 제제 투여를 통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는 글로벌 임상1상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각 암종의 생물학적 특성과 분자 변이 프로파일을 반영한 맞춤형 병용 전략 설계도 병행하며 임상적 근거를 점진적으로 확립해 나갈 계획이다.
노영수 한미약품 ONCO임상팀 이사는 "HM97662의 임상1상 결과는 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된 EZH1/2 이중 억제 전략이 실제 임상 치료에서도 항종양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장하며 새로운 항암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하이테크주 상승 주도로 반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091613521102599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