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투자 늘고…반도체 호황 수출 증가세
한은 "4분기 -0.1∼0.3%면 연 1% 성장"
한은 "4분기 -0.1∼0.3%면 연 1% 성장"
이미지 확대보기한은이 28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3분기 국내 실질 GDP는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다.
성장률 1.2%는 한은이 지난 8월 발표한 경제 전망에서 예측한 3분기 성장률(1.1%) 대비 0.1%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또한 지난해 1분기 기록했던 ‘깜짝 성장(1.2%)’과 같은 수준으로 1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 이후 2분기(-0.2%) 역성장했고, 이후 3분기와 4분기 모두 0.1% 성장에 그쳤다. 올해 들어서는 1분기(-0.2%) 또 역성장했다가 2분기 0.7%로 반등했다.
투자 부문은 설비와 건설이 정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기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2.4% 늘었으나,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1% 감소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에 소비와 투자를 종합한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는 1.1%P로 2분기 0.4%에서 크게 뛰었다.
반도체 호황에 따른 수출 증가세도 깜짝 성장에 기여했다. 3분기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어 1.5% 증가했다. 수입은 기계 및 장비,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수출과 수입이 비교적 고르게 증가하면서 순수출의 성장률 기여도는 0.1%P로 집계됐다.
3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아지면서 올해 연간 성장률 1%대 달성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은이 8월 전망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0.9%였다.
한은은 소비쿠폰 지급으로 인한 민간소비 개선 효과가 4분기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소비쿠폰의 성장률 제고 효과에 대해 "정확한 효과는 자료가 어느 정도 쌓인 다음에 봐야겠지만 7월 이후 외식카드 사용액이 늘고 있는 것은 맞다"면서 "3분기보다는 4분기에 효과가 나타날 것 같다. 그렇게 보는 이유는 2차 소비쿠폰을 지급한 주간인 추석 연휴 직전 신용카드 흐름과 10월 첫 주 흐름을 보면 10월 증가율이 확연히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차 소비쿠폰도 다 소진된 건 아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면 4분기에 소비에 더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1차가 총 9조2000억원, 2차가 4조5000억원이기 때문에 효과는 1차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간 1% 성장률 달성 가능성에 대해선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말씀드리면 3분기 1.17% 성장했다"면서 "4분기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0.1~0.3% 정도가 나오면 단순 계산으로 연간 1% 성장 달성이 가능한 상황이며 현재로서는 경제성장률 연 0.9%, 1.0% 다 열려 있다"고 밝혔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1%였다. UBS와 골드만삭스가 1.2%, 바클리가 1.1%를 예상했고, 나머지 IB들은 1%와 0.9%의 예상치를 내놨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3일 만에 반락...전 거래일 대비 이익 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KRX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3.35% 급락 1g당 18만2830원 마...](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816235909718edf69f862c1216361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