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산업부, 민관합동 수출지원협의회 개최… 대·중소 상생 수출생태계 조성 나서

글로벌이코노믹

산업부, 민관합동 수출지원협의회 개최… 대·중소 상생 수출생태계 조성 나서

지난 6월 열린 주요 업종 수출점검회의. 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6월 열린 주요 업종 수출점검회의.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정부와 관계부처가 민관합동 수출지원협의회를 열고 대·중소 상생의 수출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정부가 26일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주재로 관계부처와 주요 경제단체, 수출지원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합동 수출지원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정부 내 부처와 공공기관, 유관단체가 수출 지원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기관별 사업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이인호 차관은 모두 발언에서 “세계 10대 수출국 중 한국이 1~7월 수출증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수출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수출이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해왔으나 일자리 창출이나 중소기업 성장과 같은 낙수효과가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차관은 이어 “양적 성장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도록 수출구조의 혁신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네 가지의 수출 지원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도록 매년 내수기업 5000개를 수출기업으로 전환할 계힉이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 지원도 지난해 44조원에서 2022년 65조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또한 정부는 규제개선과 R&D 지원 등을 통해 수출 부가가치와 고용효과를 제고한다. 2020년까지 수출 대체시장인 아세안과 인도의 수출 비중을 20%까지 확대해 안정적인 수출구조를 확립한다.

아울러 정부는 수출 예산편성과 지원 기업 선정 등 수출 지원 전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효과를 우선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한편 참석자들은 각 담당 품목・대상별 수출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주력산업의 경우 통상장관회담 등 통상채널을 통해 수입규제에 대응하며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공장 신설과 관련 투자 애로를 발굴, 해소를 지원한다.

문화콘텐츠 분야에서는 동남아 시장으로 B2B 수출상담회를 개최하고, 농식품에서는 인도와 남아공 등 20개국 시장 개척을 위해 ‘농식품 청년 해외개척단’을 파견한다.

참석자들은 새로 발족한 통상교섭본부를 중심으로 수출구조 혁신과 수출 확대를 위해 합심해 나가기로 했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