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출근길에 기자들을 만나 600억달러 규모의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국제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인 미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며 "미국이 기축통화국으로서 달러에 대한 불안을 완화해야 겠다는 판단이 있었고, 한국도 달러공급이 필요했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은이 합의한 것은 계약 체결을 합의한 것이고, 이제 계약서 작성에 들어갈 것"이라며 "계약서가 작성되면 곧바로 달러화를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국내 외환보유액이나 환율 방어에 이용되는 외화자산은 적절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그는"현재 외환보유고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여러 기준을 적용해 보더라도 지금 수준은 대채로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로 조달한 자금을 시장에 공급하는 수순에 대해 이 총재는 "미 연준하고 합의한 건 계약을 체결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곧바로 계약서 작성에 들어간다"며 "조건이나 법적 고려사항이 있어서 그 뒤로 곧바로 (시장에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스와프를 체결 과정에 대해 그는 "리야드에서 가진 양자 회담에서 한국의 금융시장 상황, 그당시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영향 등에 대해 자세히 얘기를 나눴다"며 "BIS 이사로 활동하다 보니 수시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라인이 돼 있어 협의하기 좋았다"고 설명했다.
금융시장 불안에 한은이 추가로 꺼낼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선 "한은이 할 수 있는 정책수단은 모두 테이블에 올려놨다"며 "적어도 금융기관이 유동성 부족으로 제 역할을 못하는 상황은 막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할 계획이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다른 나라와의 통화스와프 체결할 계획에 있는지에 대해 이 총재는 "여타 주요국과의 통화스와프도 외환시장 안전판 역할을 해 여전히 중요하다"며 "일본과의 통화스와프도 의미가 있는 만큼 앞으로 외환시장 안전판을 강화하기 위해 소위 중앙은행 간 협력을 높이는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n091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