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개발도상국 채무 불이행, 글로벌 경제회복 최대 걸림돌?

공유
0

[글로벌-Biz 24] 개발도상국 채무 불이행, 글로벌 경제회복 최대 걸림돌?

경제부진 심화되고 자본도피 현상
IMF에 102개국서 긴급융자 요청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개발도상국의 채무 불이행를 일으켜 경제 회복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개발도상국의 채무 불이행를 일으켜 경제 회복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개발도상국의 채무 불이행를 일으켜 경제 회복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경제 부진이 심화되고 자본도피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들 국가는 채무상환 비용 상승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에는 사상 최대인 102개국에서 긴급융자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IMF로서는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하다. 향후 몇 개월 동안 추가 융자 요청이 대량으로 밀려들 것으로 보인다. IMF는 현재 저소득 국가의 40%가 채무 상환에 시달리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IMF가 대출로 돌릴 수 있는 자금을 늘리려면 특별인출권(SDR) 증액이 필요하지만 미국은 이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IMF로서도 대응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G20이 합의한 저소득 국가의 채무상환유예(모라토리엄)는 연말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그 후에 어떠한 사태가 닥칠지 전망은 불투명하다. IMF는 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일부 국가는 자국의 신용등급이나 미래의 시장접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해 참여를 꺼리는 움직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현 시점에서 채무 위기가 시작되고 있는 나라는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레바논, 잠비아 등이지만 더 많은 개발도상국으로 확산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1980년대의 라틴아메리카나 1990년대의 동아시아 등 지역적으로 국가가 채무불이행에 빠지는 예는 있었지만 요즘과 같은 글로벌한 위기 확대는 전례가 없다.

이 같은 파산국가를 구제하는 주역은 미 재무부와 미 연준(FRB)이었고 주 채권국으로 구성된 '파리클럽'과 연계된 민간금융기관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렇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채무 위기의 해결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성공시키려면 모든 당사자가 양보해야 한다. 민간 섹터와 함께 채무 위기의 해결에 나설 수 있지만 이는 미국 정부가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다는 조건이 따라붙는다.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 중국은 개도국에 대한 국가 차원의 채권자로는 가장 큰 존재다.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각지에서 ‘일대 일로’를 통한 도로·인프라의 건설·개수가 진행되고 있다. 킬 세계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의 융자 잔액은 5200억 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투자 급증의 결과로 금융·채무 위기의 해결에는 중국의 관여가 불가결하다.
중국은 전국인민대표자회의(전인대)에서 접근법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인대에서는 ‘일대 일로’와 관련해 ‘질 높은’투자에 주력한다는 내용이 발표됐다. 잠복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중국은 다른 채권국들과 연대해야 한다.

G20 국가들로서는 파리 클럽에 중국이 협력해 참여하도록 해야한다. 그 과정에서 중국 측에 융자나 그 조건에 관한 투명성 향상을 요구하게 된다. 중국은 또 상당한 채무면제·채무재편에 동의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개발도상국의 채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면 중국의 참여가 관건이 된다.

시간은 중요하다. 채무 위기는 가속화하고 있다. 대규모의 채권자가 결속하지 못하면 국제 금융 시스템에의 신뢰에 큰 충격파를 안겨줄 것이다. 2021년에 글로벌 경제성장률이 5.8%까지 회복될 것이라는 IMF의 예측은 낙관적이지만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하다가 빈곤국이 채무 문제에 발목을 잡히면 그 예측은 뒤통수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