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바이든-푸틴 정상회담 러시아 수용 의사 우크라 휴전 논의 급물살?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바이든-푸틴 정상회담 러시아 수용 의사 우크라 휴전 논의 급물살?

튀르키예(터키) 평화회담 제안 "러시아 핵무기 사용 명확한 원칙"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설 모습 이미지 확대보기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연설 모습


러시아의 핵무기 사용 공포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푸틴의 미·러 정상회담에 대해 러시아 외교장관이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우크라 전쟁의 휴전 논의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11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미국이 제안한다면 적극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국영 방송 '로시야-1'과의 인터뷰에서 다음 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푸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우리는 대화를 거부하지 않는다"며 "제안이 있다면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관이 미국은 대화에 열려 있으나 러시아가 거부하고 있다고 말한 데 대해선 "새빨간 거짓말"이라며 "어떤 진지한 접촉 제안도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튀르키예(터키)가 서방과 평화회담을 주선하겠다고 한 데 대해선 "어떤 제안이든 들을 뜻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이번 주 카자흐스탄 방문에서 푸틴 대통령에게 관련 제안을 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양국 정상회담을 예고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휴전 협상의 조건으로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또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핵전쟁 위협과 관련해 언급한 '아마겟돈'(성경에서 묘사된 인류 최후의 전쟁) 표현을 겨냥해 "러시아가 대량살상무기를 포함한 도발을 꾀한다고 주장하거나 핵전쟁 이슈를 제기하는 이들은 자신들의 책임을 이해하길 바란다"며 "미국과 그들의 위성국가, 그리고 그들의 전문가 및 정치인들도 공개 발언을 할 때는 최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러시아 대통령은 핵 공격에 따른 러시아의 파괴 또는 러시아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공격을 막기 위한 보복 수단으로만 핵을 쓸 수 있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곧 무너질 위기에 직면할 때만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면서 이와 관련된 서방의 무성한 추측을 비난했다. 러시아는 "직접적인 핵 공격이나 다른 무기 공격으로 러시아 국가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고 그 결과로 러시아 연방이 파멸하는 것을 막기 위한 보복 수단으로만" 핵무기를 사용한다는 명확한 방침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9월21일 부분 동원령 연설에서 러시아 영토를 지키기 위해서 "모든 가능한 수단"을 사용할 태세가 되어 있다고 언명한 것이 러시아발 핵무기 사용 위기설의 진원지라고 할 수 있다. 푸틴의 이 발언은 열흘 전 세계적 뉴스가 된 우크라이나군의 동북부 피점령지 대규모 탈환 그리고 이에 촉발된 러시아군 점령의 우크라 4개 주 러시아편입 주민투표 실시를 배경으로 하면서 '핵무기 사용 불사'의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주민투표 찬성으로 4개 주가 러시아 영토가 되면 이제 우크라군의 이 점령지 탈환 공격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으로 간주되고 자신은 모든 가용 수단을 사용하겠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러시아군이 계속 우크라군에 밀릴 경우 푸틴이 최소한 전술핵을 실제 터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푸틴의 발언 직후 세계의 핵무기 위기가 60년 전인 1962년 쿠바 핵무기 배치를 둘러싼 미·소 양국의 일촉즉발 대치 이후 가장 현실적으로 임박했다는 서방의 평가가 쏟아졌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조차 피할 수 없는 종말의 아마겟돈이란 용어를 사용해 푸틴의 핵 사용 가능성을 세계에 경고했다. 2월24일 우크라를 특별군사작전으로 침공한 푸틴은 일주일도 안 돼 군에 핵무기 태세를 올리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때 라브로프는 푸틴의 이 명령을 여러 국내외 연설에서 강조해 마지않았던 앞잡이 역할을 했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