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상장지수상품 발행사, 투자자의 관심 저조로 6개 상품 종료 결정

ETP(Exchange Traded Product)란 ETF(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와 ETN(Exchange Traded Note, 상장지수증권)과 같은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을 뜻하는 용어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책임자 아리엘 페닝턴은 탄탄한 수요를 누리고 있는 다른 상품들은 계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ETP 폐쇄
이 회사는 21셰어즈 에스앤드피(21Shares S&P) 리스크 콘트롤 이더리움 지수 ETP(티커 SPETH), 21셰어즈 S&P 리스크 콘트롤 비트코인 지수 ETP(티커 SPBTC), 21셰어즈 디파이(DeFi) 10 인프라 ETP(DEFII), 21셰어즈 USD 수익률 ETP(USDY), 21셰어즈 크립토 레이어 1(21Shares Crypto Layer 1) ETP(LAY1) 등 5개 펀드를 폐쇄할 예정이다.
트레이더는 4월 6일부터 이들 제품에 더 이상 접속할 수 없다. 또한 6월 12일에는 21셰어즈 테라 클래식 ETP(LUNA)가 상장 폐지될 예정이다.
상장폐지의 주된 이유는 총 자산이 70만 달러 미만으로 이자가 낮기 때문이다.
페닝턴은 다른 ETP에 대한 수요도 여전히 강하다며 1월에 상당한 금액이 유입되었다고 설명했다. 1월 한 달 동안 21셰어즈 비트코인 ETP(ABTC)와 21셰어즈 이더리움 ETP(AETH)의 관리 자산이 2억 달러를 넘어섰다.
연준(Fed)의 금리 인상 정책은 ETP와 같은 일부 상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지난해 암호화폐 시장 하락의 한 원인일 수 있다. 다른 요인으로는 지난해 업계를 충격에 빠트린 FTX, 테라, 셀시우스 파산 등이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 업계는 올해 초 이후 시장 상황은 많이 개선됐다. 비트코인과 그밖의 많은 알트코인(비트코인 외의 대체코인)은 미국의 금융 대위기로 인해 수 개월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리스크오프 자산에 숨통을 틔워준다면 업계는 더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연준이 다음 주에 금리를 25bp(베이시스 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8개월 연속 금리를 인상한 후에도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SEC, 현물 비트코인(BTC) ETF 또 승인 거부
21셰어즈는 ETP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와 공동으로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BZX 거래소에 현물 비트코인 ETF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2년과 봄과 마찬가지로 약 두 달 전에 현물 비트코인 ETF 신청을 거부했다.
김성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de.kim@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