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월마트, 아마존, 포드, 마텔 등을 지목하며 “가격 인상 여부를 지켜보겠다”고 경고했고 애플과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해외 생산 문제를 이유로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이는 미국 내 소비자들이 이미 체감하고 있는 가격 상승을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고 야후파이낸스가 26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월마트와 중국은 ‘관세를 감수하고’ 충성스러운 소비자에게 단 1센트도 부담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아마존이 자사 웹사이트에 관세 비용을 별도로 표기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고 비판했다.
트럼프는 또 포드가 차량 가격을 올릴 가능성에 대해 “그럴 경우 아무도 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마텔이 같은 조치를 취할 경우 “그 장난감에 100%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압했다.
야후파이낸스는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을 향한 공개적 압박에 집중하고 있지만 필요할 경우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고 전했다. 미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산업 전반에 대한 조사, 특정 제품 및 기업 수익에 대한 조사, 의회 차원의 입법 추진, 심지어 행정명령을 통한 가격 통제 등도 도구로 검토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가격 통제와 같은 조치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 시절인 1971년 인플레이션 위기 상황에서 임금과 가격을 90일간 동결한 전례가 있다. 당시와 같은 강경 조치까지 나아가긴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미국 정치권 전반에서 기업의 가격 책정에 대한 정부 개입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라이언 본 미국 케이토연구소 소속 경제학자는 야후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우리가 그 방향(가격 통제)으로 점점 이동하고 있는 느낌”이라며 “기업들은 대통령이나 행정부가 어떻게 반응할지 갈수록 고민하게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카멀라 해리스 당시 민주당 후보의 식료품 가격 담합 방지 정책을 “소련식 통제”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럼에도 최근에는 유통 대기업들을 향해 가격 인상 자제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이같은 압박에 반응하고 있다. 홈디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며 이를 트럼프 대통령 측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마이클 베이커 D.A.데이비드슨 전무는 야후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홈디포와 월마트가 실제로 다른 정책을 펴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결국 표현 방식의 차이”라고 분석했다.
에드 야르데니 야르데니리서치 대표도 “소매업체들의 마진이 얇은 상황에서 가격 인상을 하지 않으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아니다”며 기업들의 난처한 상황을 지적했다.
그럼에도 백악관은 “대통령은 미국 소비자의 물가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외국이 관세를 감당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케이토연구소의 본은 “이번 사안은 근본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들을 공개적으로 압박하려는 전략”이라며 “관세로 인한 물가 변동성이 소비자 불만을 키운다면, 정부 개입의 명분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