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강력한 IPO 파이프라인, 아시아 시장 투자 다변화 뚜렷"
中 기술 선도 기업 매력…글로벌 자금 조달 허브 '굳히기'
中 기술 선도 기업 매력…글로벌 자금 조달 허브 '굳히기'
이미지 확대보기JP모건 체이스의 폴 우렌 아시아 태평양 투자 은행 대표는 최근 "올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강력한 IPO 파이프라인이 존재한다"며 "투자자들이 접근하고 싶어하는 매우 우수한 기업들이 즐비하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일본, 홍콩, 중국 본토, 인도 등 아시아 시장에 대한 투자를 다변화하고 있다"고 상하이 포스트에 밝혔다.
우렌 대표는 지난주 JP모건이 주최한 연례 '글로벌 차이나 서밋'에서 이같이 언급했으며, 이 행사에는 전 세계 2800명 이상의 기업 임원, 규제 당국 관계자, 기관 투자자들이 참석했다.
지난 20일, CATL은 홍콩 증시에서 410억 홍콩달러(약 7조2000억 원)를 조달하며 올해 전 세계 최대 규모의 IPO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상장 첫날 주가는 공모가 대비 16.4% 급등하며 뜨거운 시장의 관심을 입증했다.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홍콩 증권거래소에서는 총 22개 기업이 IPO를 통해 77억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으며, 이는 60개 기업이 69억 달러를 조달한 나스닥을 넘어선 수치다.
홍콩 거래소가 마지막으로 IPO 시장 1위를 차지했던 것은 2019년으로, 당시 183개 기업이 약 400억 달러를 조달한 바 있다. JP모건의 낙관적인 전망은 홍콩증권거래소(HKEX)의 보니 찬 이팅 최고경영자(CEO)가 CATL 상장식에서 더 많은 중국 본토 기업들이 홍콩에서 자본 조달 가능성을 문의하고 있다고 밝힌 것과 맥을 같이 한다.
홍콩 금융 규제 당국 역시 전기차, 소비재, 기술과 같은 유망 산업의 선도 기업들이 해외 확장을 위한 자본을 유치할 수 있도록 중국 본토 기업에 대한 상장 요건을 완화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크리스토퍼 후이 칭위 금융서비스·재무장관은 지난 2월 증권선물위원회(SFC)와 HKEX가 자금 조달 문턱을 낮추고 시장 구조를 최적화하며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상장 규정 개정안을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푸젠성에 본사를 둔 CATL은 테슬라, BMW, 폭스바겐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 제조업체를 고객으로 두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CATL은 1분기 전기차 배터리 인도량이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세계 시장 점유율 38.2%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 10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중 6곳이 중국 기업이며, 이들은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중국 시장의 67.4%를 점유했다. CATL은 홍콩 IP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해외 시장 공장 건설에 사용할 계획이며, 현재 해외 시장 매출은 전체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특수 배터리 공급업체 쑤저우 해저텍스의 한 고위 임원은 "전기차 배터리는 중국 기업이 외국 경쟁사에 비해 압도적인 우위를 누리고 있는 분야"라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CATL과 같이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제품을 보유한 기업을 주목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평가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뉴욕증시] AI株 약세 속 3대 지수 하락 지속](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906205106679be84d8767411822112019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