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 “美 국가부도 막을 유일한 해법은 AI와 로봇”

글로벌이코노믹

머스크 “美 국가부도 막을 유일한 해법은 AI와 로봇”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의 천문학적 국가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해법으로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제시했다.

18일(현지시각) 미국 금융전문매체 바차트에 따르면 머스크는 팟캐스트 방송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에 출연해 “미국을 부채 위기에서 구하고 파산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AI와 로봇”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방정부의 이자 지출이 이미 국방비를 포함한 주요 예산 항목을 초과한 상황이라며 “이건 내게 엄청난 경고였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머스크 CEO는 기존 정치 시스템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불가능하다면서 “방향은 개선할 수 있지만 시스템을 완전히 고칠 수는 없다. 경제 성장이 없다면 부채 위기를 풀 방법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머스크의 이같은 주장은 그가 이끄는 자본집약적 산업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

테슬라 공장에서의 대규모 자동화와 스페이스X 로켓 재사용 시스템의 핵심이 로봇·자동화 기술에 있다는 점에서 그는 기술 혁신이 구조적 비효율성을 상쇄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 머스크는 민주주의 시스템이 근본적인 지출 삭감처럼 비인기 정책을 강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정치보다는 기술에 기대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바차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고금리 환경과 재정 부담에 대한 전문가들의 경고와도 맞닿아 있다. 미국 경제학계는 연방정부의 급증한 이자 비용이 장기적 투자 여력을 제한하고 미래 위기 대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우려한다.

머스크는 긴축재정보다 기술 주도의 번영이 안정성을 확보하는 길이라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그는 전기화, 컴퓨터, 자동화 등 과거 생산성 혁신이 경제구조를 재편했던 전례를 언급하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기술만이 부채 곡선을 이겨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AI와 로보틱스 기술이 국가 회복력 확보의 전제 조건이 될 것”이라며 “기술이 지금까지 그랬듯 다시 한 번 구조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