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재명 “대미 관세 협상 쉽지 않아”…FT “트럼프 요구 불분명, 한미 무역협상 난항”

글로벌이코노믹

이재명 “대미 관세 협상 쉽지 않아”…FT “트럼프 요구 불분명, 한미 무역협상 난항”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무역협상 시한까지 한미 간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오는 9일 종료되는 미국과 상호관세 유예 연장 협상과 관련해 “관세협상이 매우 쉽지않은 건 분명하다”면서 “한·미가 최선을 다하고 있고 또 쌍방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그야말로 호혜적인 그런 결과 만들어 내야하는데 아직까지도 쌍방이 정확하게 뭘 원하는지가 명확하게 정리되지는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최선을 다하고 있으나 확언하기 어렵다”고 말해 트럼프 대통령이 정한 협상 시한까지 결론을 낼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 트럼프 “일본 관세 35%로 인상할 수도”…한국은 ‘데드라인 연장’ 기대

이번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상호주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면서 촉발됐다. 한국 정부는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 일본에 대해서도 관세를 30~35%까지 올릴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한국 정부 내에서는 9일 시한 연장을 기대하던 분위기가 급격히 위축됐다고 FT는 전했다.

협상이 지연된 배경에는 지난 연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조기 대선 등 정치적 혼란이 있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대선에서 당선돼 집권에 들어갔다.

◇ “트럼프 행정부, ‘더 많이 달라’고만 요구…구체적 안건은 불분명”


FT는 복수의 협상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에 대해 무역 흑자 550억달러(약 75조4875억원)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가스·방산 장비 구매 확대,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미국 해군 조선소 재건을 위한 한국의 대미 투자, 알래스카 가스 수입 계약 등도 논의되고 있다.

다만 협상은 순탄하지 않다. FT는 “미국 측은 한국 측이 충분히 ‘야심적이지 않다’며 불만을 표했지만 정작 한국 측은 미국이 뭘 원하는지조차 혼란스러워한다”고 전했다. 한 협상 관계자는 “미국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분명한 건 더 많이 원한다는 점뿐”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어 원칙적으로 자동차 등 대부분의 품목에 대해 관세가 없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부터 한국산 자동차·철강·가전제품 등에 대해 개별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반도체·제약 부문에 대해서도 별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 결과에 따라 이달 내 합의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FT는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