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기존에 ‘7월 9일(이하 현지시각)’로 예정됐던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을 사실상 8월 1일로 연기한 가운데 한국 정부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협상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7일 폴리티코와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전날 CNN에 출연한 자리에서 “관세 유예가 끝나는 것은 7월 9일이 아니라 8월 1일이 될 것”이라며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4월 2일 수준의 관세율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베선트는 “8월 1일은 새로운 데드라인이 아니라 관세가 시행되는 날일 뿐”이라며 “협상을 빨리 끝내고 싶다면 그렇게 하라. 관세로 돌아가고 싶다면 그것도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일괄 관세 부과 조치를 7월 9일까지 유예한 뒤 협상을 통해 관세 인상 적용을 막겠다는 구상이었던 기존 틀에서 한 발 물러난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지난 5일 “월요일부터 12개국에 관세 관련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며 관세율은 10~70%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8월 1일 발효를 예고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무역협상도 본격화됐다는 관측이다.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 “관세 유예 연장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실리를 최대화하는 협상을 하겠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날부터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양자 협상을 시작했으며 미국 측이 요구한 비관세장벽 철폐와 무역수지 불균형 문제 등에 대한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입장을 담은 협상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현재까지 영국·중국·베트남과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으며 인도 및 유럽연합(EU)과도 막판 조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케빈 해싯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협상이 근접하면 시행 시점도 유동적일 수 있다”고 언급하며 주요 우방국에는 일정 수준의 유예 가능성을 시사했다.
관세 재개 여부와 수준을 두고 세계 각국이 미국과의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 역시 실리 확보와 산업 보호를 위해 막판 협상력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