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M극장 하반기 ‘춤과 의식전’
춤전용 개포동 M극장 기획공연 2014 M극장 하반기 ‘춤과 의식전’이 최근 개최되었다. ‘춤과 의식전’에 초대된 춤 테크니션들의 안무작들은 정석순 안무의 『영웅들, Heros』, 이룩 안무의 『희희낙낙, JoyJoy』, 성유진 · 황영근 공동안무의 『만약에, If』, 이주형 안무의 『소진된 인간, Very Tired Man』, 네 편이다.밀물예술진흥원(이사장 이숙재 한양대 명예교수)이 후원한 이번 공연에서 베테랑 춤꾼들의 불꽃 튀는 경연은 상상을 초월한다. ‘춤과 의식전’ 출신의 작가들은 무용 전반에서 활발한 두각을 나타내며 무용계의 바람직한 지적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언급된 안무가들은 기 구축된 현대무용계의 건강한 도전 세력, 혹은 견제세력으로 기능하고 있다.


열정으로 가득 찬 춤은 디스코텍의 분위기를 띄고 있다. 오픈된 무대에서 가면은 수시로 탈착(脫着)된다. 버디댄스(남성 이인무)는 열정과 좌절의 개인사를 탁월한 춤 테크닉에 담아 진솔하게 보여준다. ‘젊은 프로 춤의 향(香)’은 춤 예술가의 불투명 향(向)을 암시한다. 그들의 울분은 거친 호흡 속에 담기고 나비처럼 날아온 도회의 어두움은 그들을 구제하지 못한다.
탈진의 기억 속에 날아간 꿈은 슬픔을 위로한다. 성공과 불운에 관계없이 그들은 희망을 꿈꾼다. 진정성을 담보한 그들의 춤은 외계인의 것이 아니며, 고난이도의 춤을 교만으로 채우지도 않는다. 현대를 상징하는 장치들(전자기기)의 사용, 시각적 비주얼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동화담화(同話曇華)의 동기(同氣)를 조성한다. 그들은 맥주를 마시며 자유를 춤춘다.


사용된 네 종류 음악, 암전 상태의 도입부 음악은 궁금증을 유도한다. 길거리 연주음악은 일상적 분위기이지만, 반대로 댄서들은 각기 과장된 동작을 보여준다. 연출자와 사회자 역을 동시에 하는 여자 출연자의 등장이후 1장 음악은 무음의 단점을 보완한다. 시간의 자연스러운 흐름, 극의 진행의 묘미와 속도감을 위한 메트로놈 리듬을 따라 점점 빨라지며, 악기가 추가될 때, 다양한 게임을 하는 댄서들이 분위기를 돕고, 편안한 느낌을 연출한다.


상황은 엄숙함과 파열의 웃음으로 번지고, 관객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성유진, 황영근 공동안무의 『만약에, If』는 사랑에 관한 짧은 몸 에세이이다. 전제는 ‘만약’ 이다. ‘사랑이란’이란 연작 카툰이 떠오르는 제목 『만약에』는 과거 현재, 미래의 삼 시제에 남녀간의 ‘사랑’에 대한 간결한 몸 에세이를 담은 작품이다. 무대를 압도하는 큰 키의 현대무용가 두 사람은 느림과 빠름의 균형을 조절하며 여린 감정의 동선을 긴 호흡으로 잘 처리한다.
도입부에서의 가벼운 인사, 서로에 대한 깊은 응시, 긴 선을 타고 연출된 춤은 남녀사이의 미묘한 심리를 현대적 무브먼트로 생략과 잔잔한 전자 리듬에 담는다. ‘만약에’라는 현대적 공간 속의 소파, 완숙한 춤 연기자들은 가변의 다양한 빛의 도움을 받아 커플은 어울림/소외됨, 바름/일탈의 다양한 약속된 게임 같은 상황을 연기해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