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검하수 연평균 증가율은 진료인원과 총진료비가 각각 6.2%, 14.7%로 나타났으며 진료인원 3명 중 2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안검하수증‘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1만8000명에서 2014년 약 2만3000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5000명 증가했다. 총 진료비는 2010년 약 37억원에서 2014년 약 65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7억원이 늘었다.
안검하수증’ 진료인원 3명 중 2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화로 인해 퇴행성안검하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안검하수증은 연령별로 성별 진료인원에 차이가 있었는데 30세 미만에서는 남성 환자가 많고 30세 이상에서는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0세 미만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직은 그 원인이 특별히 밝혀진바 없다.
특히 퇴행성 안검하수는 50세 이상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년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 변화로 인해 안구건조증 발생이 많은데 안검하수증이 같이 있는 경우 눈의 불편감이 가중되고 노화로 인해 눈꺼풀이 처져 졸린 듯한 인상으로 변하기 때문에 병원을 많이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