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 가구 늘면서 소용량 상품 수요 증가㎏

GS더프레시가 5월 1일~6월 8일 과일 22종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수박을 잘라서 가공·포장한 조각 수박류 상품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8% 늘었다. 일반 통 수박 매출이 2.8%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마트에서도 전체 수박 매출에서 5㎏ 미만의 수박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4%에서 지난해 16%로 늘었다. 2017년 처음 선보인 ‘반쪽 수박’과 ‘1/4 쪽 수박’은 2018년 160%, 2019년 15% 매출이 신장했다. ‘나 혼자 수박’(600g, 3980원)의 2019년 매출은 2018년 대비 20% 상승했다. 반면 10㎏ 이상 통 수박의 매출 비중은 2015년 20.7%에서 2019년 9%로 절반 넘게 줄었다.
소형‧소용량 수박이 대세로 떠오른 데는 1~2인 가구의 힘이 컸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1~2인 가구 비율은 2015년 5월 55%에서 올해 5월 61.3%로 늘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메뉴를 혼자 즐기려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유통가에 소형‧소용량 수박을 판매하려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이마트도 사과처럼 깎아 먹는 ‘까망애플 수박’(1.5~3㎏), 망고처럼 속이 노란 ‘블랙망고 수박’(3~5㎏)을 비롯해 소형 수박을 다양하게 판매 중이다. 이 회사는 올해 반쪽 수박, 1/4 쪽 수박 등 소용량 상품 물량을 지난해 대비 3배에 이르는 1000t가량 준비했다. 이들 상품은 신선도 유지를 위해 별도 개발한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진열대에 놓인다.
롯데마트는 이달 4일 ‘흑피 수박’의 한 종류인 ‘블랙위너 수박’을 선보였다. 블랙위너 수박은(6~8㎏) 소형 수박으로 분류 되진 않지만, 일반 통 수박에 비하면 작다. 롯데마트는 이외에도 애플 수박(1~2㎏), 베개 수박, 망고 수박 등 소형 수박 품목을 전체 수박의 30% 비중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1~2인 가구가 늘면서 소형‧소용량 수박이 대형마트‧슈퍼‧편의점을 점령하고 있다. 앞으로도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새로운 상품이 기획‧개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