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힘 실린 美 연준의 긴축···원·달러 환율, 1409원으로 상승 출발

공유
0

힘 실린 美 연준의 긴축···원·달러 환율, 1409원으로 상승 출발

7일 원·달러 환율 1409.0원 출발···전일比 6.6원↑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검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검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원·달러 환율의 상승 흐름이 재개됐다. 이는 전일 미 고용지표 호조 등으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 금리 인상 전망이 힘을 얻었기 때문. 이로 인해 미국 단기채 금리가 크게 상승하고, 뉴욕 증시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전일 대비 6.6원 상승한 1409.0원으로 출발했다.
전일 1416.5원으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장초반 하락세를 보이며, 오전 10시경 1410원대까지 하락했다. 이후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1390원대로 이탈하기도 했으나, 장 마감 직전 낙폭을 회복하며 1402.4원으로 최종 마감했다.

이날 환율 상승세의 주재료는 고용지표 호조에 탄력 받은 미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 전망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다.

전일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가 4.2558%로 전일 대비 2.6% 상승했다. 장기 경제 전망에 영향을 받는 10년물 금리도 3.8236%로 같은 기간 1.89% 상승했다.

이는 미 고용지표 등의 호조에 기인한다. 9월 미국 민간고용이 전월 대비 20만8000명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20만명)를 상회한 것. 여기에 미 공급자관리협회(ISM)가 발표한 9월 서비스업 구매자관리지수(PMI)도 56.7로 시장 예상치(56)를 상회한 데다, 3개월 연속 확장 국면을 유지했다. 그 결과 시장 내 퍼진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론이 힘을 잃게 된 것.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도 이를 뒷받침했다. 전일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연준이 금리인상을 하는데 오버슈팅이 있을 수 있지만 금리인하는 시기상조"라며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다는 증거를 볼 때까지 금리인상은 중단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역시 "연준이 연말까지 1.25%포인트의 추가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며 "금리인상은 내년에도 이어져 내년 초 기준금리가 4.75%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 결과 전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는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확률이 67.3%로 전망했다.

또한 전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15% 하락한 2만9926.94를 기록했다. 이어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2% 하락한 3744.52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0.68% 하락한 1만1073.31을 기록했다.

파운드화의 하락 역시 영향을 미쳤다. 지난 5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영국과 영란은행(BOE)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트러스 내각의 내규모 감세안의 후폭풍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 현재 파운드화 가치는 전일 1파운드당 1.14달러 수준에서 현재 1.1146달러까지 하락한 상태다. 반면 달러 인덱스는 전일 111선에서 현재 112.24선까지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다.

이날 환율은 재개된 강달러 흐름과 위험회피 심리의 재부각 등을 근거로 1410원을 기점으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어제 아시아 장에서 이틀 연속 위안화 개입 추정 움직임이 확인됐으나,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미국 국채금리 상승이 달러 강세 재료로 소화됐다"며 "유로·파운드 낙폭도 확대되자 상승 배팅으로 국한된 점도 오늘 환율 상승 분위기 조성에 일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민 연구원은 "수출업체 일부 달러 매도 포지션 소화 등은 상단을 두텁게 형성한다"며 "여기에 당국 미세조정에 대한 경계감까지 더해질 경우 장중 상승 속도를 억제해 줄 공산이 크다. 1400원 후반을 중심으로 상승 시도가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