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홍콩 ELS 사태 봉합 수순…은행권, 잇따라 자율배상 수용

공유
1

홍콩 ELS 사태 봉합 수순…은행권, 잇따라 자율배상 수용

주요 판매 은행 이사회 열고 자율배상 동참
울며 겨자먹기로 분쟁조정안 수용
투자자들 여전히 반발…대규모 소송 가능성은 남아

지난 19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금융감독원과 지방지주 회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19일 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금융감독원과 지방지주 회장·은행장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규모 원금 손실을 불러온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가 일단락 될 것으로 보인다. 총선 전 이 사태를 빨리 매듭짓고 싶은 금융당국이 서둘러 자율배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고 은행권이 이를 수용하면서다.

다만 금융당국이 제시한 배상비율이 0~100%로 매우 넓어 투자자들이 이에 반발해 줄줄이 소송에 나설 가능성은 남았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하나은행은 이사회를 열고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기준안을 수용해 홍콩 ELS 가입자에 대한 자율조정을 추진하기로 결의했다. 앞서 지난 22일 우리은행이 이사회를 열어 자율 배상을 결정한지 5일 만이다.

나머지 판매 은행들도 자율배상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엔 NH농협은행이 29일엔 KB국민·신한은행이 이사회를 열고 자율배상을 논의한다.

배임 이슈 가능성에 자율배상에 선뜻 나서지 못했던 은행권이 배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은 금융당국의 압박 탓이다.

은행권에 대한 금융당국의 압박은 점차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12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ELS 배상과 관련해 "왜 지금 은행권의 배임 이슈가 나오는지 정확하게 이해를 못 하겠다"고 비판했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자율 배상을 하면 과징금 등 제재 감경 사유로 고려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울며 겨자먹기식이지만 금융당국에 최대한 협조하는 편이 낫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자율배상 밖에 선택지가 없는 상황에서 사태를 오래 끌고 갈 이유가 없다는 고민도 작용했다"면서 "금융당국과 날을 세워 봤자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좋을 게 없다"고 말했다.

전체 은행의 배상액은 약 2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감원은 분쟁조정기준안에서 대다수 사례가 조정비율 20~60% 구간에 들어갈 것으로 분석한 바 있는데 이에 따라 업계는 평균 배상비율이 40% 수준으로 보고 있어서다.

올해 상반기 만기 도래 H지수 ELS는 10조원 규모다. 대략 절반(50%)의 손실을 예상하면 평균 40% 배상에 2조원이 소요된다.

은행별 상반기 만기 규모는 KB국민은행 4조7726억원, NH농협은행 1조4833억원, 신한은행 1조3766억원, 하나은행 7526억원, SC제일은행 5800억원, 우리은행 249억원 등이다.

이에 따라 최대 판매 은행은 KB국민은행은 상반기에만 예상 배상규모가 9545억원으로 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어 NH농협은행 2967억원, 신한은행 2753억원, 하나은행 1505억원, SC제일은행 1160억원 등으로 추산된다

다만 금융당국과 은행들이 제시한 배상 규모에 투자자들이 반발해 줄소송에 나설 가능성은 남았다.

금감원은 자율배상안을 발표하면서 투자자들에게 "이번 조정기준안에 따라 배상이 원활히 이뤄져서 법적 다툼의 장기화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최소화되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지만 일부 투자자들의 반발이 여전히 거세기 때문이다.

홍콩 ELS 피해자 모임은 오는 29일 KB국민은행 본점 앞에서 배상안 재산정 및 은행의 100% 보상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길성주 홍콩 ELS 피해자 모임 위원장은 금감원이 제시한 자율배상안에 대해 "ELS 사태는 불완전판매가 아닌 사기판매로 반드시 100% 원금보장과 관련차 처벌이 선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