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소영 "보호무역·미 경기둔화 가능성… 세계경제 하방 리스크 크다"

글로벌이코노믹

김소영 "보호무역·미 경기둔화 가능성… 세계경제 하방 리스크 크다"

금융위, 금융시장 현안 점검 "세계 경제질서 빠르게 전환…변동성 유의"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이미지 확대보기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보호무역 확산,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 등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상당히 큰 상황"이라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세계 정치·경제 질서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면서 국내 실물경제·투자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 부위원장은 1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권효성 블룸버그 수석이코노미스트, 김은기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김현태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 박종훈 SC 수석이코노미스트, 신관호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재원 한국은행경제연구원 원장, 정대희 KDI 거시경제정책연구부장, 한지영 키움증권 애널리스트 등이 참석했다.
우선 참석자들은 외부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국내 금융시장이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보호무역 확산, 미국 경기 둔화 가능성 등 세계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상당히 큰 상황"이라며 "앞으로 금융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변수가 많이 남은 만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김 부위원장은 "지금 이뤄지고 있는 세계 질서의 전환이 궁극적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는 예단하기 어렵다"며 "단기적으로는 전 세계 실물경제를 둔화시키고,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며, 위험자산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외부 환경의 변화가 국내 금융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글로벌 자금 흐름과 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피겠다"며 높은 수준의 긴장감을 갖고 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단기적인 경기 방어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잠재적 성장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라며 "전환기를 다시 한번 맞게 된 만큼 새로운 여건에 적응하기 위한 도전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이 특히 중요하다. 모험적 투자에 수반되는 위험을 분담하는 등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와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더 많은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