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국내 수출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소상공인에 10조500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신한금융은 기업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통해 6조4000억원을 지원하며, 수출기업 대상 3조원 규모의 특별금리인하 ‘하이패스’(Hi-Pass) 쿠폰을 제공한다.
소상공인 신규 대출을 위해 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을 통해 5000억원을 공급한다. 중기 신규대출 지원을 위해 신보 특별출연으로 6000억원을 수혈한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도입에 따른 금융애로를 겪을 수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선제적 금융지원을 통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B금융도 이날 중기·소상공인 대상 8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KB금융은 ‘영업점 전결 금리 우대 프로그램’을 기존 1조5000억원에서 3조원으로 늘리고, 국가 주력전략산업을 영위하는 중기 등을 위한 ‘한시 특별 금리 우대 프로그램’도 3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대한다.
제조업체, 수출업체 지원을 위해 신보, 기술보증기금에 총 230억원을 특별출연한다는 방침이다.
우리금융 또한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한다고 이날 밝혔다. 우리금융은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리스크관리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 3일 중기·소상공인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6조원의 자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기존에 운영 중이던 ‘주거래 우대 장기대출’을 3조원 증액하고, 3조원 규모의 ‘금리우대 대출’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