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외환보유액 두 달째 늘어 4113억 달러… 세계 10위 유지

글로벌이코노믹

외환보유액 두 달째 늘어 4113억 달러… 세계 10위 유지

6월 외환보유액 4113.3억달러 …전월比 11.3억달러↑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센터에서 직원이 미국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센터에서 직원이 미국 달러화를 정리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두 달 연속 증가세로 4113억3000만 달러로 늘어났다. 미국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이 감소했으나,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 운용수익 증가 등의 영향이다.

다만, 6월 말 기준 글로벌 외환보유액 순위는 지난 3월 9위에서 10위로 하락한 뒤 넉 달째 10위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3억3000만 달러로, 6월 말(4102억 달러) 보다 11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지난 5월 말(4046억달러) 약 5년 만에 최소 수준까지 줄었다가 6월(+56억1000만 달러)과 7월(+11억3000만 달러) 2개월 연속 증가세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보유액 증가 배경에 대해 "미국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달러 환산액이 감소했지만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 운용수익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외환보유액 중 가장 비중이 큰 유가증권(잔액 3650억6000만 달러)이 한 달 전보다 65억6000만 달러 늘었다. IMF 관련 청구권인 IMF포지션(45억2000만 달러)도 5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예치금(212억5000만 달러)은 52억9000만 달러 줄었고 특별인출권(SDR·157억1000만 달러)도 1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았다.

6월 말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 외환보유액 규모는 중국(3조3174억 달러), 일본(1조3138억 달러), 스위스(1조191억 달러), 인도(6981억 달러), 러시아(6887억 달러), 대만(5984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576억 달러), 독일(4563억 달러), 홍콩(4319억 달러)에 이은 세계 10위이다. 3월 말 기준으로 2000년 관련 순위 집계 이후 처음으로 9위 밑으로 내려 온 이후 4개월째 10위를 유지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