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금융노조는 금융산업사용자협회와 산별중앙교섭을 통해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잠정 합의안에는 △금요일 1시간 단축근무 시행 △임금 3.1% 인상 △2026년 4.5일제 논의 추진 등이 담겼다. 이에 따라 현재 평일 영업점 근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지만, 금요일은 오후 3시까지 단축 운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측은 "노사가 그동안 입장 차이를 보여왔던 노동시간 단축 문제를 이제는 공동의 목표로 삼게 됐다"면서 "비록 이번 합의가 곧바로 주 4.5일제 도입은 아니지만, 이를 향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사측은 "은행별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방향으로 합의된 사항"이라며 "추후 산별노사간 조율을 통해 최종안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단축 시기와 방법 등은 추석 연휴가 끝난 뒤 각 은행 지부별 노조가 사측과 협의해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노조가 은행권 전체를 대표해 교섭을 진행한 만큼, 이번 잠정 합의가 산별노사간 협상의 가이드라인(기준선)이 될 전망이다.
다만 평균 연봉 1억원이 넘는 은행원들이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벌인 것에 이어 금융소비자의 피해가 예상되는 단축근무를 추진하는 것을 두고 곱지 않은 시선도 뒤따른다.
'귀족노조 중의 귀족노조'라는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은행권 내부에서는 자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26일 주 4.5일제 도입을 요구하며 벌인 3년 만에 벌인 총파업에는 주최 측 추산(8만명)과 달리 8000명(경찰 비공식 추산) 밖에 모이지 않았다.이를 두고 파업 전부터 비판 여론이 커지면 조합원들이 참여를 꺼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