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금융자산 2조7976억달러…1158억달러 늘어
대외금융부채 1조7414억달러…900억달러 증가
순대외금융자산 1조562억달러…258억달러 증가
대외금융부채 1조7414억달러…900억달러 증가
순대외금융자산 1조562억달러…258억달러 증가
이미지 확대보기이에 최근 급격한 환율 상승에는 거주자 해외투자에 따른 달러 수요 확대가 기여한 부분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올 3분기 말 기준 내국인의 해외투자를 의미하는 대외금융자산은 전분기 말(2조6818억달러)보다 1158억달러 증가한 2조7976억달러로 집계됐다. 기존 역대 최대였던 2분기 기록을 3개월 만에 경신한 것으로 다만 증가 폭은 2분기(+1651억달러)보다 축소됐다.
대외금융자산 가운데 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2140억달러)도 3개월 전보다 890억달러 불어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직접투자(잔액 8135억달러) 역시 이차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87억달러 늘어 역대 1위를 기록했다.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 보다 더 높은 증가 폭을 보이면서 3분기 말 기준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1조562억달러로 2분기 말보다 258억달러 늘었다.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말 1조1020억달러를 밑돌았지만 3분기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임인혁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대외금융자산은 해외 직접투자와 증권 투자가 모두 확대되고 미국 증시가 호조세를 보이고 준비자산도 늘며 증가했다"면서 "대외금융부채는 직접투자와 증권투자가 확대됐고, 주가도 상당폭 상승했지만, 원화 약세가 부채 평가액 확대를 일부 제약했다"고 말했다.
최근 환율 상승의 주범으로 거주자의 해외투자 확대가 지목되는 것에는 "11월 들어서 거주자의 미국 증시 투자는 계속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외국인은 증시에서 대거 매도를 하며 차익실현에 나섰다"면서 "불균형이 심화된 것이 환율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헀다.
문다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급격한 원·달러 환율 상승에는 거주자 해외투자에 따른 달러 수요 확대가 기여한 부분이 크다"면서 "거주자 해외투자 유출 속도가 둔화되어야 환율이 뚜렷하게 하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특징주] 고려아연, 6.54% 급등...시가총액 22조원 '돌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90928270659844093b5d4e211173710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