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공연리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에버랜드의 꿈, 그 이상향에 관한 명상

공유
0

[공연리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에버랜드의 꿈, 그 이상향에 관한 명상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임인년 10월 3일(월), 4일(화), 5일(수) 3일간 저녁 7시 30분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임학선댄스위(예술감독 임학선,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명예교수) 주최·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공연예술중장기창작지원사업·성균관대학교 유가예술문화콘텐츠연구소 후원으로 수수지례(授受之禮)의 핵심인 임학선댄스위 한국춤세계화 프로젝트 ‘WE, UNIVERSE-우리의 꿈’이 공연되었다. 이번 공연은 방배동 두리춤터에서 춤 공간을 이동, ‘위’(爲)의 춤 철학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근본적인 가치와 방향성을 ‘예술’로 이야기한다.

공연은 자연(이혜준·김현우), 인간(선은지·양한비), 예술(박혜리·송윤주)로 영역이 나누어져 창작되었다. 차별화된 춤 언어로 자신들의 역량을 보여 준 공연에서 자연 부문은 10월 3일(월) 이혜준 안무의 <수로>·김현우 안무의 <포터>, 인간 부문은 10월 4일(화) 선은지 안무의 <엄마를 위한 망고 댄스>·양한비 안무의 <Gone, 代>, 예술 부문은 10월 5일(수)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송윤주 안무의 <Finale>가 공연되었다. ‘동정과 공감’·‘성찰’·‘연대’의 능력을 보여준 공연은 ‘임학선댄스위’의 주창(主唱)의 실천이었다.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이 가운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를 평론의 대상으로 삼는다. ‘온갖 좋은 것이 다 있는 꿈의 나라’는 안무가가 어렸을 때부터 꿈꿔 왔던 곳이다. 그녀는 어려서 못 한다고 생각했던 모든 일들이 어른이 되면 다 해결되리라 생각한다. 꿈꾸는 모든 것들이 이뤄지길 바라며 막연히 어른이 되길 원했지만, 어른이 되어도 세상은 아득한 날들로 가득했고, 순수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던 모습과는 다른 자신이 되어가는 것을 발견한다. 자신의 향방을 물으며 어린 시절 자신의 <Never-Never Land> 이야기를 전한다.

안무가는 자유롭지 못했던 시대의 여성과 자신의 모습이 비슷하다고 느꼈고, 그 처녀들이 즐기던 ‘널뛰기’를 오브제로 삼는다. 널뛰기는 담 너머의 세상을 구경하고, ‘정월에 널을 뛰면 그 해에 발바닥에 가시가 들지 않는다.’ 등의 속설이 있다. 널뛰는 여성들의 모습은 온전한 해방과 행복을 바라는 것처럼 보인다. 안무가는 그런 여성들의 놀이와 지위를 빗대어 자신의 현실을 재현한다. 작품은 끊임없이 도전하며 어른이 되어가는 젊은 세대, 어른이 되어 삶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든 존재들을 위로한다.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Never-Never Land>는 1장 ‘마주하다: 책임과 역할’, 2장 ’성인 아이: 공상 속 존재‘, 3장 ‘자기 해체: 해답 없는 질문’, 4장 ’성년식: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의 4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작품에서 의상이 특히 강조된다. 몸의 실루엣이 모두 드러나는 형태로 특히 상체는 코르셋처럼 몸에 달라붙어 있다. 완벽한 코르셋의 형태는 아니지만 이러한 의도는 예전 서양에서 남녀 차별로 여성에게만 아름다움을 강요했던 시기처럼 자유롭지 못했던 여성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1장 ‘마주하다: 책임과 역할’, 사자춤이 모티브가 된 장면이다. 본래 사자놀이의 의미를 담아 좋은 기운을 북돋우고, 잡귀를 쫓아 새로운 시작의 문을 여는 듯한 의미를 표현한다. 여기서 사자의 또 다른 의미는 ‘시간’이다. 어른이 되어 마주한 현재의 시간을 뜻한다. 쉼 없이 달려 마주한 현실에서 넘을 수 없을 만큼 높아져 버린 담 저 너머에 또 다른 세상과 소통을 시도한다. 음악 또한 봉산탈춤의 사자춤에 주로 사용되는 장단을 가지고 음악을 재탄생시키며 사자춤의 의미를 더욱 강조시켰다.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2장 ’성인아이: 공상 속 존재‘, 의도치 않은 탄생에 끊임없이 다짐하고 어른이 되는 과정 속의 문제점을 그려낸다. 널은 ‘책임’의 의미로 강조되며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을 에피소드와 키워드로 해학적인 움직임으로 만들어낸다. 널뛰기라는 노래를 사용해 뛰는 행위들이 널뛰기를 하는듯한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보여준다. 뛰는 행위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움직임의 상징은 우리가 사는 세상, 현실에서의 해방감과 자유를 표현한다. 널이 마치 무대 위의 또 다른 무대의 공간처럼 인형극과 같이 구성되었다.

3장 ‘자기 해체: 해답 없는 질문’, 어린 시절을 회상한다. 배경은 옛날 여자아이들의 놀이를 사용하며 동화 같은 움직임을 만들었다. 널은 현실을 마주한 커다란 담벼락이 되어 방해물이 되기도 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발판이 되기도 한다. 어딘가에 머물러 계속해서 부정했던 시간을 유유히 흘려보내고 지금의 자신을 존재하게끔 이끌어줬던 타인, 안 좋은 기억들에 덮여있었던 현재의 시간을 다시 한번 돌이켜 본다. 유년의 순수함과 어른이 된 지금 무엇을 잃어가고 잊어가며 살아가고 있을까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4장 ‘성년식: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박혜리의 솔로로 앞으로의 궁극적인 삶의 의미와 내면의 가치관을 찾고 본질적인 행복에 갈망한다. 상상하고 꿈꿔왔던 과거 속에서 뛰어내려 현실과 다시 마주하게 되는 장면, 자신만의 성년식을 통해 삶의 의미와 가치가 더해지길 의식적으로 기원한다. 널을 힘겹게 쌓아 올려 그네를 향해 쓰러뜨리는 장면은 작품에서 계속해서 도달하고자 했던 장면이다. 가고자 하는 이상향이자 가치관의 방향성, 세상에 한 발 더 내디디며 성장해 나아가고자 하는 현재의 모습 속에서 약속을 다짐한다.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이미지 확대보기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


박혜리 안무의 <Never-Never Land>는 상고대의 신비를 부르면서 시작하여 현재 여성의 위상으로 접근한다. ‘널’과 ‘그네’로 바깥세상 엿보던 움직임은 미학적 상승으로 발전한다. 일상의 행위를 클래식화하여 조상들의 지혜를 조명하고 철학으로 연결하는 도전 정신은 임학선댄스위의 연구 태도를 증거하는 것이었다. 아득히 천국 같았던 시대의 아름다움이 희망으로 번져오지만, 현실 속에 그 아름다움은 신기루일지도 모른다는 상상이 가능하다. 발상의 신선함이 기교를 타고 부분 부분이 최선을 다한 작품으로 기억되었다.

출연: 박혜리 강민지 김태훈 박상은 서상원


장석용 문화전문위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