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42.4%) vs 양서(40.8%) 막상막하…한길리서치 여론조사
응답자 76.0% ‘논란 커도 이번 정부서 결정’…주민투표 ‘찬성’ 65.7%
응답자 76.0% ‘논란 커도 이번 정부서 결정’…주민투표 ‘찬성’ 65.7%

일요신문이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5일부터 사흘간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으로 응답에 참여한 양평군민 42.4%는 수정안 강상면을, 40.8%는 기존안 양서면을 더 낫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두 응답률의 차이는 1.6%포인트로 선호하는 종점부가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맞섰다. ‘어디든 상관없다’는 답변도 11.7%가 나왔다.
연령대별로는 나이가 적을수록 양서면, 많을수록 강상면이 더 낫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18~29세)는 절반이 넘는 56.2%가 ‘양서면 종점이 더 낫다’고 응답했다.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46.7%가 ‘강상면 종점이 더 낫다’고 답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IC 논란 문제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91.3%가 ‘안다’고 답해 이번 건설사업이 양평군민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임을 보여주고 있다. ‘아주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이는 50.3%로 절반이 넘었고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응답은 41.0%였다. ‘모른다’는 답변은 7.9%에 그쳤다.
권역별로 보면 기존 종점부에 가까운 양서·서종·옥천면 응답자는 절반인 50.0%가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봤고, 변경 종점부에 가까운 강상·강하·개군면 군민들은 55.2%가 ‘의견이 반영됐다’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정치권의 서울-양평 고속도로 논쟁에 대해 많은 양평군민은 ‘정치적 논쟁’이라고 평가했다. ‘정부와 정치권의 논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 절반이 넘는 56.1%가 ‘의혹을 밝히기보다는 정치적 논쟁’이라고 응답했다. ‘의혹을 밝히기 위한 논쟁’이라는 답변은 35.6%로 나타났다.
강상, 양서면 IC 위치 선호 지역별 응답률을 보면 정치적 시각이 뚜렷했다. 변경된 강상면 종점부를 선호하는 응답자는 82.3%가 ‘정치적 논쟁’이라고 보았지만, 기존의 양서면 종점부를 선호한다고 답한 군민은 65.8%가 ‘의혹을 밝히기 위한 논쟁’이라고 답해 대조를 이뤘다.
하지만 ‘원희룡 장관이 사업 추진을 백지화하고 다음 정부에서 결정하게 하겠다고 한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논란이 커도 이번 정부에서 결정해야 한다’는 답변이 76.0%로 가장 높았다. ‘논란이 커서 다음 정부에서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은 12.5%에 그쳤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나들목 종점 결정을 지역 주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찬성’이 65.7% 반대보다 훨씬 높았다. ‘반대’는 27.5%에 그쳤다.
IC 위치 선호 별로 보면 기존 양서면 종점안을 선호하는 군민들은 ‘주민투표 반대’, 변경된 강상면 종점안을 선호하는 이들은 ‘주민투표 찬성’에 대한 답변이 높았다. 강상면 종점안을 선호하는 양평군민 89.6%가 ‘주민투표를 찬성’한 반면, 양서면 종점안을 선호하는 응답자 중 52.4%는 ‘주민투표 반대’를 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길리서치가 양평군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850명을 대상으로 7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무선 29.8%·유선 70.2% RDD 방식을 이용한 ARS 여론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3.4%포인트(95% 신뢰수준)이다. 표집방법은 성별, 연령별, 지역별 할당 후 무작위 추출해 가중값(2023년 6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을 부여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