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레일 표면결함 발견에도 연마, 교체 정비 이뤄지지 않아
사고 원인 구조적, 인적문제…‘피로 취약 텅레일’, ‘정비미흡’ 등
사고 원인 구조적, 인적문제…‘피로 취약 텅레일’, ‘정비미흡’ 등


지난해 11월 경부선 영등포역 구내 무궁화열차 궤도이탈사고는 열차를 다른 궤도로 이동시키는 장치인 분기기의 텅레일이 열차 운행 중 ‘부식피로’로 부러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선로유지보수를 맡는 한국철도공사가 분기기 텅레일의 표면결함을 발견하고도 제때 정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사고는 피로에 취약한 레일의 단면적, 정비 미흡 등 구조·환경적, 인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밝혀졌다.
10일 국토건설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지난해 영등포역 무궁화열차 궤도이탈사고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열차는 지난해 11월 6일 오후 8시 41분 용산을 출발해 익산으로 가는 7칸의 열차로 오후 8시 52분경 역 구내에서 탈선했다.
이 사고로 승객275명 중 80명이 부상을 입고, 차량, 시설 파손으로 178개 열차가 운행 차질을 빚었다. 사고로 입은 피해액도 21억8000만원에 달했다
사조위의 9개월간 조사결과에 따르면 사고는 분기기의 텅레일이 부식피로에 의해 열차 운행 중 부러진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조사됐다. 부식피로는 금속이 부식 환경에서 지속해서 응력을 받으면 피로와 부식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당시 사고열차는 영등포역 구내 분기기를 67km의 속도로 통과하던 중 텅레일이 부러지면서 서 객차 5량과 발전차 1량이 선로 좌측으로 탈선했다.
사조위는 텅레일 파손이 직접적인 사고 원인이지만 분기기 텅레일의 단면적이 작아 피로에 취약하고, 정비가 미흡해서 발생한 구조적, 인적 문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분기기의 전체 길이가 권장 설계기준보다 짧고, 텅레일의 단면적도 일반레일에 비해 작아 피로에 취약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지역은 운행횟수가 1일 174회로 일반철도 구간 중 최대이고, ‘통과톤수’도 경부선 금천구청~안양역 구간의 3배로 표면결함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조위는 사고 발생은 이처럼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했지만, 관리 부실이라는 인적 문제도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철도공사는 사고 발생 6개월 전부터 텅레일의 표면결함이 여러 차례 발견됐지만, 레일 연마나 교체 등 정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에서 드러났다.
특히, 사고 발생 6일 전 분기기 정밀점검에서도 문제점을 발견하지도 조치를 하지도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기관의 선로 유지보수가 부실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철도안전지침에는 레일 표면결함에 대한 구체적인 정비나 관리기준도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조위는 분기기 점검과 철저한 유지관리, 취약점 개선과 관리기준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안전권고안(한국철도공사에 5건, 국가철도공단) 해당 기관에 냈다.
김수정 사조위 사무국장은 “철도공사와 철도공단에 조사결과를 통보해 안전권고 이행계획과 결과를 제출하도록 조치하고, 유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사고 조사 보고서와 수사 결과를 근거로 한국철도공사에 과징금 부과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