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다면 쉽게 비거리를 늘리는 방법은 없을까? 비거리를 늘리는 방법은 수없이 많다. 가장 쉬운 방법은 클럽 헤드의 스피드를 높이는 것이다. 이것이 어렵다면 정확하게 클럽페이스의 중심(Sweet Spot)에 맞히면 거리를 무조건 늘릴 수 있다.
클럽의 중심에 정확하게 공을 타격하면 얼마나 거리를 더 늘릴 수 있을까. 프로선수들에게는 다른 이야기 일 수 있지만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에는 평균 비거리가 약 10 ~20% 더 늘어난다는데 대해 이견이 없다.
아마추어 골퍼들이라면 라운드 중 드라이버 샷을 잘하고 나면 동반자들로부터 "오잘공(오늘 경기중 가장 잘 친 공)~"이란 탄성을 듣고 어깨를 으쓱해지는 기분을 가끔 느끼면서 '어떻게 하면 늘 오잘공을 칠 수 없을까?'하고 속으로 생각한다.
물론 개인별 차이는 있겠지만, 오잘공에 대하여 '내 실력이 향상되었을까?' 아니면 '가볍게 스윙을 했는데 생각보다 거리가 많이 나는 행운을 내가 받았을까?'하는 생각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럼 스위트 스포트는 무엇일까.
사전적으로는 골프클럽 페이스에서 볼이 가장 효과적으로 맞는 지점을 의미한다. 클럽페이스의 무게 중심점이고, 통상 반발계수가 가장 높은 점이다.
그림처럼 스위트 스포트에 볼을 맞히기가 어렵다면 클럽 상단에 볼이 맞을 경우가 하단보다 비거리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클럽 상단에 볼이 맞을 경우 하단보다 볼스피드의 감소가 적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백 스핀의 경우도 상단이 하단보다 약 1100rpm정도 낮아 볼이 그라운드에 떨어진 후 많이 굴러 간다.

그림에서 가운데 녹색 '0'으로 표시된 부분이 스위트 스포트를 나타내는 위치인데, 실험에 의하면 녹색으로 표시된 클럽 페이스의 중심보다 약간 위쪽 토(toe) 쪽인 적색 '0'이 스위트 스포트로 나타난다.
스위트 스포트에 볼을 정확히 맞히는 방법은?
첫 번째는 힘을 빼고 가볍게 스윙을 하면서 자신만의 스윙 리듬이나 밸런스를 찾는다. 거리를 내기 위해서 준비자세부터 힘을 강하게 주면 스윙을 할 때 근육이 경직되면서 백스윙부터 스윙 아크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 스윙 리듬과 밸런스가 깨져 거리가 줄어들거나 방향성이 크게 벗어난다.
어깨에 힘을 뺀 상태에서 어드레스시 클럽을 가볍게 잡고, 그립 압력(pressure)을 피니시 동작까지 유지하는 연습을 한다.
두 번째는 클럽을 평소 보다 짧게 잡는다. 타이거 우즈(미국)도 그립을 내려 잡고 샷을 한다. 연습량이 부족한 아마추어의 경우는 드라이버는 아이언보다 클럽의 길이가 길어서 스윙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처음에는 클럽을 짧게 잡다가 스윙이 안정이 되면 점차적으로 클럽의 길이를 길게 늘려가는 것이 효과적이다.
세 번째는 백스윙부터 임팩트 순간까지 손목을 적게 쓴다. 테이크 백부터 손목을 돌려 백스윙을 인사이드로 하는 것은 결국 임팩트 순간에 필연적으로 손목을 사용해 제 자리로 돌아오게 해야 하는 만큼 백스윙 때 코킹이 아닌 손목의 턴은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이같은 방법으로 연습을 할 때는 임팩트 순간에 머리의 위치가 어드레스 때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척추를 중심축으로 한 부드러운 스윙이 이루어지는지를 꼭 체크하면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일환 대구공업대학교 골프담당 교수
안성찬 글로벌이코노믹 대기자 golfahn5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