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은 브이피피랩(VPPlab), 탄소중립기술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총 사업비 16억 원 규모로 추진되었으며, 제주 지역 특성에 맞춘 분산에너지 신사업 모델을 실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4년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발맞춰, 제주 지역의 높은 재생에너지 보급률 (2023년 기준 18.2%)에 대응하기 위해 기획됐다. 출력제한 문제와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며, P2H(Power to Heat) 기술과 VPP (Virtual Power Plant) 기반 실시간 전력거래 플랫폼을 중심으로 혁신적 모델을 구축했다.
주요 실증 성과로는 주택, 농가, 리조트 등 8개소에 고효율 P2H 설비를 구축하고, IoT 기반 실시간 제어 및 모니터링 플랫폼을 운영하여 에너지 사용과 탄소 감축 데이터를 시각화 했으며, VPP 전력거래 통합 플랫폼을 통해 예측 기반 실시간 전력거래 및 수요반응 시장 참여를 실현했다. 그 결과, 세대당 연간 난방비 최대 40% 절감과 가구당 약 8-10톤의 CO2 감축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고객 만족도 또한 기존 화석연료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본 실증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 확산형 패키지 모델의 적용 가능성도 입증되었다.

이번 실증사업은 향후 제주도의 탄소중립 이해 전략, 농촌 난방 복지 정책, 분산에너지특구 시범사업 등과의 연계를 통해 전략사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나눔에너지는 TPO (Third Party Ownership) 기반 렌탈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준비 중이며, 이후 민간 보급 확대를 위한 투자 유치 및 렌탈 상품 출시도 계획 중이다.
양지혁 ㈜나눔에너지 대표는 “이번 실증사업은 제주형 분산에너지 모델의 가능성을 입증한 중요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제주를 넘어 국내외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실현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나눔에너지는 ‘2025년 농업 분야 RE100 실현 프로젝트’에도 선정되어, 농업 분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새로운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본 사업은 제주특별자치도와 (재)제주테크노파크가 주관하며,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를 활용한 자가소비형 ESS(에너지저장장치) 개발, RE100 이행 플랫폼 운영, RE100 검증 및 라벨링 등을 포함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 ㈜나눔에너지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본 사업에 참여하며, 제주 주요 농업작물(감귤 등) 중심의 재생에너지 자립형 모델을 실증하고, 전국 확산 가능한 농업 RE100 선도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나눔에너지는 기후위기 극복과 에너지전환을 주도하는 분산에너지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강소기업이다. 제주에서 시작하여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해외특허 8개 (미국 3, 유럽 2, 호주 3) 및 국내 특허 16개 포함 총 24개의 특허를 보유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